{{{#!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남해 차차웅 | 유리 이사금 | 탈해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파사 이사금 | 지마 이사금 | 일성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벌휴 이사금 | 내해 이사금 | 조분 이사금 | 첨해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미추 이사금 | 유례 이사금 | 기림 이사금 | 흘해 이사금 | |
<rowcolor=#fbe673>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
<rowcolor=#fbe673>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소지 마립간 | 지증왕 | 법흥왕 | 진흥왕 | |
<rowcolor=#fbe673>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진지왕 | 진평왕 | 선덕여왕 | 진덕여왕 | |
<rowcolor=#fbe673>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태종 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
<rowcolor=#fbe673>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 |
<rowcolor=#fbe673>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선덕왕 | 열조 원성왕 | 소성왕 | 애장왕 | |
<rowcolor=#fbe673>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헌덕왕 | 흥덕왕 | 희강왕 | 민애왕 | |
<rowcolor=#fbe673>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신무왕 | 문성왕 | 헌안왕 | 경문왕 | |
<rowcolor=#fbe673>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
헌강왕 | 정강왕 | 진성여왕 | 효공왕 | |
<rowcolor=#fbe673>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제56대 | |
신덕왕 | 경명왕 | 경애왕 | 경순왕 | |
}}}}}}}}}}}} |
내물 마립간 관련 틀
|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17대 국왕
내물 마립간 | 奈勿 麻立干 |
|||
|
|||
내물왕릉 전경. | |||
출생 (음력) |
330년대 중반 ~ 340년대 초반 추정[1] | ||
사로국 서라벌 | |||
사망 (음력) |
402년 2월 (향년 60대 추정) | ||
사로국 서라벌 | |||
능묘 | 내물왕릉(奈勿王陵)[2] | ||
재위기간 (음력) |
신라 제17대 국왕 | ||
356년 4월 ~ 402년 2월 (45년 10개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김씨 | |
휘 | 내물(奈勿) / 나밀(那密) / 누한(樓寒)?[3] | ||
부모 |
부친 김말구 모친 휴례부인 |
||
형제자매 | 김대서지?[4] | ||
왕후 | 보반부인 | ||
자녀 |
태자
김눌지[5] 왕자 김복호, 김미사흔 |
||
신장 | 181cm[6] | ||
왕호 | 내물 마립간(奈勿 麻立干) | ||
나밀 마립간(那密 麻立干) | |||
별호 | 내물 이사금(奈勿 尼師今) | ||
나밀 이사금(那密 尼師今) | }}}}}}}}} |
|
내물왕릉 묘비 |
[clearfix]
1. 개요
遣衛頭入苻秦, 貢方物. 苻堅問衛頭曰: "卿言海東之事, 與古不同, 何耶?" 答曰: "亦猶中國. 時代變革, 名號改易, 今焉得同?"
위두(衛頭)를 부(苻)씨 진(秦)나라에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부견(苻堅)이 위두에게 물었다.
"경이 말하는 해동(海東)의 일이 옛날과 같지 않으니 어찌된 것인가?"
위두가 대답하였다.
"또한 중국과 같은 경우입니다. 시대가 바뀌고 명칭과 이름도 고쳐졌으니, 지금과 예전이 어찌 같을 수 있겠습니까?"[7]
《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 이사금 26년조 中[8]
신라의 제17대 왕.위두(衛頭)를 부(苻)씨 진(秦)나라에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부견(苻堅)이 위두에게 물었다.
"경이 말하는 해동(海東)의 일이 옛날과 같지 않으니 어찌된 것인가?"
위두가 대답하였다.
"또한 중국과 같은 경우입니다. 시대가 바뀌고 명칭과 이름도 고쳐졌으니, 지금과 예전이 어찌 같을 수 있겠습니까?"[7]
《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물 이사금 26년조 中[8]
356년 4월 내물왕대부터 912년 4월 제52대 효공왕대까지 556년간[9] 이어지는 경주 김씨 왕조의 시작점이 되는 왕이었고, 신라 왕조의 중시조에 해당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재위 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백제의 최전성기를 구가한 근초고왕, 고구려의 최전성기를 연 광개토대왕과 재위기가 모두 겹치는 왕이다. 어찌 보면 삼한의 패권이 백제 우위에서 고구려의 우세로 넘어가는 시기였던, 삼국시대 역사상 가장 숨가쁜 격동기 중 하나인 4세기 중엽~ 5세기 초 역사의 산 증인이라고도 볼 수 있다. 고구려의 내정간섭과 백제, 가야, 왜의 침입을 겪는 난관 속에서도 결국 국가 보전에 성공해 향후 신라가 중흥을 이루는 기반을 마련했다.
《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왕의 칭호로 마립간을 처음 사용한 왕이라고 한다. 신라 역사의 분기점에 해당하는 임금으로 신라는 후삼국시대까지 계속될 김씨의 왕위 세습과 성골이 확립되었고, 이때부터 마립간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다만 《 삼국사기》에서는 아직 이사금 칭호로 나온다.
그는 '내물왕'이라고도 불리지만 이는 후대에 편의상 사용하는 호칭이다. 사실 지증왕 이전의 왕들 모두가 후대에서는 비슷한 이유에서 당대에 쓰던 왕호 대신 '왕'을 붙여 부르기도 하나, 선덕왕 이후로 진골 귀족들을 '무열왕계'와 '내물왕계'로 구별하기 때문에 '내물 마립간'의 경우 유독 '내물왕'이라는 표기가 많이 보인다.[10] 사실 신라에서는 奈 자를 내가 아닌 나로 발음했기에, 정확한 명칭은 내물이 아닌 나물이라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따라서 최근 논문들에는 내물왕이 아닌 나물왕으로 표기되며, 후일 교과서에도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2. 생애
아내를 맞이할 때 같은 성씨를 취하지 않는 것은 분별을 두터이 하기 때문이다. 신라의 경우에는 같은 성씨를 아내로 맞이할 뿐만 아니라 형제의 자식과 고종·이종 자매까지도 모두 맞이하여 아내로 삼았다. 비록 외국은 각기 그 습속이 다르다고 하나
중국의 예속(禮俗)으로 따진다면 도리에 크게 어긋났다고 하겠다.
흉노(匈奴)에서
그 어머니와 아들이 상간(相姦)하는 경우는 이보다 더욱 심하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권3 내물 이사금조
김씨 시조
김알지의 7세손. 아버지는
김구도의 아들인 말구(末仇)이며, 어머니는 휴례부인(休禮夫人)이다. 아내는
미추 이사금의 딸
보반부인이다.[11] 《
삼국사기》에는 후대 사람
김부식의
근친혼에 대한 평가가 있는데 이전부터 신라
왕실은 근친혼이 많았다. 그러므로 근친혼을 통해 김씨 왕실의 결속을 이끌어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런데 미추 이사금은 284년 승하했고, 내물 마립간은 356년 왕위에 올랐다. 기록을 최대한 신뢰하여 보반부인이 284년에 태어났다 치더라도 내물 마립간이 즉위했을 시점에는 이미 73세의 노령이었을 것이다. 내물 마립간이 40대에 등극했다 해도 최소 30세 연상인 셈인데 정상적인 혼인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기록이 100% 사실이라고 볼 수는 없다. 지금 와선 《삼국사기》 기록 기년은 잘못되었으나 가계도는 신뢰도가 높은 쪽으로 기울어지는 상황이다. 물론
실성 마립간의 왕비
아류부인도 보반부인과 같은 미추 이사금의 딸이라서 마찬가지로 해석되고 있다. 둘 다 추정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기록은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내물 마립간의 왕비 보반부인과 실성 마립간의 왕비 아류부인은 자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권3 내물 이사금조
내물 2년(357년) 봄 각 지방에 사자를 파견하여 과부나 홀아비 등에 곡식 3곡(1곡=10두)을 하사하고, 행실이 착한 관리에게 1급씩 관직을 올려주었다. 민심 수습책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신라 주위의 정세는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무엇보다 바다 건너 왜가 가장 큰 문제였는데 앞서 흘해 이사금 때 틀어진 왜와의 관계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아 내물 9년(364년) 왜의 내침이 있었다. 이는 백제와 가야의 사주를 받아서 공격했을 가능성이 크다. 고대사 기록답지 않게 왜가 쳐들어오면 격퇴했다, 농성하다, 적이 물러갔다 식의 간단한 기록이 아닌 제법 상세하게 나온다. 《삼국사기》 기록을 살펴보면 내물 9년 왜의 대군을 상대하기 위해 수천 개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군복을 입히고 무기를 들려준 다음 토함산 밑에 세워놓고 날쌘 병사 1,000명을 잠복시켰다. 왜군이 자신들의 수를 믿고 허수아비를 향해 돌격해오는 동안 복병을 동원하여 대파한다. 비록 지형을 이용한 기습 공격으로 왜군은 격퇴되었으나 신라군이 왜군과 정면으로 대결하지 못하고 농성 또는 전술로써 격퇴하는 모습은 노략질 수준이던 왜의 침략이 하나의 정권으로 모이기 시작하면서 대형화되고 있음을 뜻한다.
《 일본서기》에 따르면 신라군의 왼쪽이 빈 것을 왜군이 눈치채고 집중적으로 공격하여 신라군을 대파했다고 나온다. 결과는 서로 다르지만 364년에 왜의 공격이 있었던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일본서기》에 《삼국사기》에는 없는 기록이 추가로 있는데 내물 14년(369년) 왜군이 대대적으로 신라와 가야 정벌을 단행했다고 나온다. 이때 백제의 근초고왕과 왜의 연합군은 신라를 정벌하고 가야 7개 소국을 평정했다고 한다.
왜 이외에 백제의 근초고왕이 백제 중심의 국제 질서를 한반도 남부에 정립하려 하고 왜와 가야가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자 신라 또한 별 수 없이 백제의 우위를 인정하고 참여했다. 내물 11년(366년) 백제의 사신이 신라를 방문하고 내물 13년(368년) 신라가 백제로부터 좋은 말 2필을 받은 사실은 이러한 《일본서기》의 기록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다만 근초고왕이 신라와 가야를 '격파', '평정'했다는 기록의 표현과 달리 명목상이자 일시적인 굴복이었고, 이내 신라는 백제 우위의 국제 질서에 도전하기 시작하여 내물 18년(373년) 신라로 귀순한 백제 독산성 성주와 백성 300여 명을 백제로 송환하지 않았다. 이때 근초고왕이 독산성 성주와 백성들을 돌려달라고 국서를 보내자 내물 마립간은
“원래 백성은 일정한 마음이 없으니 생각나면 오고, 싫어지면 가버리는 것이 인지상정인데 너희 백성이 편치 않음은 걱정하지 않고 오히려 나한테 뭐라고 하는 게 말이 되겠는가?”
라고 답서를 보내 근초고왕을 노발대발하게 했다. 이런 소리가 나올 법도 했던 것이 논쟁이 있었던 1년 전에 백제에서 지진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내물 20년(375년)에는 흉년까지 들어 수곡성을 탈취해 간 고구려에 반격도 하지 못했으며 375년 겨울에 근초고왕이 승하했다. 비록 근초고왕 시대 당시의 백제가 전성기로 잘나가고 있었지만 논쟁 직전에는 상황이 좋지 않았던 것. 백제는 고구려도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신라를 공격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본 듯하다. 국력으로 따지면 이 시기 신라가 백제보다 한 수 아래임에도 이런 패기를 보이는 것을 보면 내물 마립간도 보통사람은 아닌 듯하다.[12] 내물 26년(381년)에는
화북의
전진(前秦)에 독자적으로 사신을 보내 백제의 공격을 초래하였다.[13] 그래서 《일본서기》
신공황후 관련 기록의 주인공을 백제로 바꾸어 보기도 한다.이러한 백제의 공격에 맞서 신라는 미인계로 왜의 장군 카츠라기노 소츠히코를 매수하여 백제와 협력하고 있던 왜군이 오히려 가야를 공격하는 사건이 벌어졌다.[14] 이에 백제는 다시 목라근자를 보내어 가야국을 복원시켰으나 한반도 남부에 근초고왕 때부터 정립되었던 백제의 권위와 위상은 큰 타격을 입게 되는 반면, 신라는 이로 인해 백제-가야-왜의 동맹 사이에서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처지가 되었다.
고구려와의 관계가 보다 긴밀해지면서 고구려 사신의 안내를 받아[15] 내물 22년(377년)과 내물 27년(382년) 두 번 중국 북부를 지배하던 전진과 국교를 수립하기도 했다. 중국 측 기록에 전진 황제 부견과 신라 사신 위두 사이의 대화가 남아 있기도 하다. 참고로 이것이 '신라'라는 이름으로 중국에 사신을 파견한 최초의 사례이기도 한데 더 이전 기록인 《 정사 삼국지》 등에서는 사로국 등 다른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었다.[16]
신라는 당시 북쪽에서 백제를 연파하며 전성기를 시작한 고구려와 동맹을 맺어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내물 37년(392년) 고구려의 사신이 내방하자 내물 마립간의 조카이자 이찬 대서지의 아들인 실성이 볼모가 되어 고구려로 떠났다. 내물 38년(393년)에도 왜군이 쳐들어와 수도 금성을 5일이나 포위하지만 내물 마립간은 왜의 예봉을 피한 뒤 적의 퇴로를 차단하고,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여 퇴각하는 왜군을 공격해 섬멸적인 타격을 입히는 전과까지 올렸다. 그러나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더욱 악화되어 내물 45년(400년)에는 백제가 선동하고 왜가 주도해 가야까지 가담한 세 나라의 대대적인 신라 침공이 벌어졌다. 그동안 왜군은 단독으로 많이 쳐들어왔지만 이번에는 백제, 가야랑 같이 와서 병력이 컸다.
광개토대왕릉비에서는 백제, 가야, 왜의 연합군이 나라 안에 가득 찼다고 기록했을 정도이다. 결국 동맹국인 고구려에 지원군을 요청하자 401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보낸 50,000명의 군대가 실성과 함께 내려와 신라를 구원하는 한편, 퇴각하는 연합군을 가야 땅 종발성[17]까지 쫓아 연합군을 패퇴시켰다. 이 사건으로 신라는 점점 고구려의 영향권 아래 들어가게 되었으며 사실상 속국 신세로 전락했는데 안 그랬으면 망했을 공산이 크다. 신라는 이 사건 이후 고구려 군대의 보호를 수십여 년간 받으면서 과거와 같이 왜-가야-백제 연합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했고, 이후 눌지 마립간이 고구려 세력을 축출할 때까지 큰 전쟁 없이 국력을 비축하고 고구려와 전진의 문화를 수용함으로써 성장할 시간을 마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볼 수도 없는 편.
내물 마립간에게는 눌지, 복호, 미사흔 등 적남이 많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내물 마립간 사후 신라의 왕위는 고구려에서 인질로 오랫동안 머물면서 광개토대왕의 휘하 군대와 인맥을 터 놓은 동생 실성에게로 넘어갔다. 일설에는 신라에 주둔해 있던 고구려 장수가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당했다는 견해도 있지만 이미 40여 년이나 재위한 걸 생각하면[18] 수명이 다해 자연사한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실성이 고구려에서 돌아오기 전에 백제ㆍ가야ㆍ왜의 협공 & 고구려의 내정간섭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병을 얻어 누워 있었다.
3. 호칭 관련
내물 이사금 혹은 나물 이사금, 나물 마립간 등 이름과 왕호에 대한 여러 가지 논란이 있는 왕이기도 하다.이름인 奈勿에 대해 살펴보자면, 《삼국사기》 〈신라본기〉 3권에는 "奈勿 혹은 那密이라고도 한다"라는 기록이 적혀 있다. 奈에는 당대 발음 중 [naj]라는 음가가 있으며, 반절로는 奴帶切이다. 이는 현대 한자음의 '내\'의 음가에 해당한다. '내'의 음가는 운서인 《광운(廣韻)》에 따르면 능금을 나타내는 것으로, 능금 내가 이 한자의 원래 뜻이다.[19] 여기까지만 보면 내물로 읽는 것이 맞는 것처럼 보이지만... 奈는 당대부터 이미 那와 통했다. 바로 가차에 속하는 경우인데, 자세한 사항은 육서 문서의 가차 부분 참고. 이때는 奴箇切의 [na]로 읽었다. 즉 'ㄴ+ㅏ=나'로 읽었다는 의미다.[20][21] 《삼국사기》 3권의 奈勿이 那密과 통한다는 것을 보면 애초에 여기서는 奴箇切의 [na]로 읽는 것이 맞다는 것을 당연히 알 수 있다.
勿의 경우는 원음이 믈에 가까운 음가로, 臻攝物韻三等에 속한 한자다. 여기서 攝이란 성조에 상관없는 기본 모음 + 종성을 묶은 것이다. 韻이란 성조가 포함된 모음 + 종성이고 等이란 개합음(w, j)을 가리키는 것으로. 臻攝物韻三等은 전설 고모음으로 '을'에 모음이 가깝다는 의미. 勿 원음은 [mĭuət]에 가까웠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密은 臻攝質韻三等에 속한 한자로 밀에 가까운 음가로 [mĭĕt]에 가까웠을 음으로, 이 둘이 통용되었다면 사실상 오늘날의 밀에 해당하였을 것이다. 입성 t의 l화는 이미 신라시대부터 그 흔적이 있으므로 당대부터 l로 읽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당대의 음가를 오늘날의 변화된 음에 맞추어 적으면 나밀이 가장 가까우며, 현재 흔히 쓰는 한자 표기인 奈勿도 또한 나물로 읽는 것이 옳다.
왕호에 대해서는 《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라 이 시기에 마립간의 칭호가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 삼국사기》에는 이 시기까지 이사금의 칭호를 쓰고 마립간의 칭호는 19대 임금인 눌지 마립간 시대에 비로소 시작되므로 이설이 있다. 나물이 눌지왕계의 시작이므로 즉위 후 후대에 마립간으로 변화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에 사신을 보냈던 것이 중국 측 기록에 남아있는데, 거기서는 신라 왕의 이름을 누한(樓寒)이라고 적고 있다. 樓(누)는 '마루'를 뜻하는 글자이며 ‘한’은 간(干)과 같은 음소를 표기한 것이므로[22] 이는 내물의 본명이 아니라 마립간 칭호를 일컫는 것으로 보이며, 마립간 칭호를 처음 사용한 시기가 내물왕 대로 추정되는 근거가 되고 있다.
내물과 동시대의 광개토대왕릉비에서도 신라왕을 부를 때 마립간의 다른 표기로 추정되는 매금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 삼국유사》의 기록이 더 신빙성이 높다고 본다. 일단 현행 한국사 교과서 등 한국의 국사 교육과정에서는 내물이라고 표기하고 있고, 내물부터 마립간으로 표기하고 있다.[23]
4. 내물왕릉
|
내물왕릉 |
|
황남대총 |
|
인교동 119호분[24] |
발굴조사를 한 것은 아니지만 인교동 119호분의 상부를 보면 함몰된 양상이 드러나는데 내부 목재들이 썩은 경우에 내려앉아서 무덤 정상부분이 평평해지는 현상이 있다. 반면에 전 내물왕릉은 무덤이 작고 무덤 호석부분에 돌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서악동 고분군에서 보이는 현상이다. 서악동 고분군 정도의 노출에서 점차 내부 호석렬이 신라 후대로 갈수록 무덤 밖으로 노출되어 아예 괘릉처럼 외부 장식용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고려한다면 전 내물왕릉은 실제로 내물 마립간의 무덤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
5. 《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1권 「신라 1권 (新羅 一)」 | 2권 「신라 2권 (新羅 二)」 | |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 ||
3권 「신라 3권 (新羅 三)」 | 4권 「신라 4권 (新羅 四)」 | 5권 「신라 5권 (新羅 五)」 | |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 |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 8권 「신라 8권 (新羅 八)」 | 9권 「신라 9권 (新羅 九)」 | |
김법민 |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 |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 ||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 ||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 |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 고주몽 · 고유리 |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 |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 |
고궁 · 고수성 |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 |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 |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 고원 · 고건무 | |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 ||
고장 |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 ||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 |||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 |||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 |||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 |||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 |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 부여의자 | |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삼국사기》 〈내물 이사금 본기〉
一年夏四月 나물 이사금이 즉위하다
二年 환·과·고·독을 위로하고, 효제에 특별한 사람을 포상하다
三年春二月 시조묘에 제사지내다
七年夏四月 나무가 가지를 서로 잇다
九年夏四月 왜병이 쳐들어오자 이를 물리치다
十一年春三月 백제 사람이 와서 예방하다
十一年夏四月 물난리가 나서 산이 무너지다
十三年 백제 왕이 좋은 말을 바치다
十七年 가물고 흉년이 들자 사자를 보내 진휼하다
十八年 백제의 독산성주가 신라로 투항하다
十九年夏五月 서울에 물고기가 비에 섞여 떨어지다
二十一年秋七月 뿔이 하나 달린 사슴을 바치다
二十四年夏四月 작은 참새가 큰 새를 낳다
二十六年 위두를 전진에 사신으로 파견하다
三十三年夏四月 서울에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三年夏六月 또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三年 겨울에 얼음이 얼지 않다
三十四年春一月 서울에 전염병이 크게 돌다
三十四年春二月 흙비가 내리다
三十四年秋七月 누리의 피해로 곡식이 여물지 않다
三十七年春一月 이찬 대서지의 아들 실성을 고구려에 보내 볼모로 삼다
三十八年夏五月 왜인이 와서 금성을 포위하자 독산에서 대승을 거두다[26]
四十年秋八月 말갈이 침입하자 이를 물리치다[27]
四十二年秋七月 하슬라[28]에 흉년이 들어 죄수를 사면하고 세금을 감면해 주다
四十四年秋七月 누리가 날아와 들판을 덮다
四十五年秋八月 살별이 동쪽에 나타나다
四十五年冬十月 내구마가 슬프게 울다[29]
四十六年 봄과 여름에 가물다
四十六年秋七月 고구려에 볼모로 갔던 실성이 돌아오다
四十七年春二月 왕이 죽다
대체적으로 자연재해 같은 안 좋은 기사가 많다. 내물 이사금[30]부터 《삼국사기》 3권이 시작된다.
6. 대중매체에서
- 2010년 KBS 드라마 〈 근초고왕〉에서는 배우 김하균[31]이 연기한 배역은 사실 내물 마립간이 아닌 실성 마립간이여야 하는데, 마지막 회 자막에서 실성 마립간이 아닌 내물 마립간으로 오기됐다. #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
내물 마립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 신라-왜 전쟁 | |
관련 문서 | 내물왕릉 · 황남대총 | ||
가계 | 김씨 왕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
||||||||||||||||||||||||||
선도성모 | 은열왕 | 문열왕 | 감문왕 | 문의왕 | 장무왕 | 장렬왕 | ||||||||||||||||||||
|
||||||||||||||||||||||||||
朴1 시조 혁거세왕 |
알영 | |||||||||||||||||||||||||
|
||||||||||||||||||||||||||
|
|
|||||||||||||||||||||||||
朴2 남해왕 |
운제 | 청평군 | 박민 | 세조 알지왕 | 사요왕 | |||||||||||||||||||||
|
|
|||||||||||||||||||||||||
|
|
|
||||||||||||||||||||||||
朴3 유리왕 |
아효 |
昔4 시조 탈해왕 |
지소례왕 | 일지왕 | 태조 성한왕 | 사요왕의 딸 | ||||||||||||||||||||
|
|
|||||||||||||||||||||||||
|
|
|
||||||||||||||||||||||||
朴7 일성왕 |
朴5 파사왕 |
석구추 | 김아도 | 허루왕 | ||||||||||||||||||||||
|
|
|
|
|||||||||||||||||||||||
朴8 아달라왕 |
朴6 지마왕 |
昔9 벌휴왕 |
김수류 | 마제왕 | ||||||||||||||||||||||
|
|
|
||||||||||||||||||||||||
|
|
|
||||||||||||||||||||||||
아도왕 | 세신왕 | 이칠왕 | 김욱보 | |||||||||||||||||||||||
|
|
|
||||||||||||||||||||||||
|
|
|
|
|||||||||||||||||||||||
昔11 조분왕 |
昔12 첨해왕 |
昔10 내해왕 |
술례부인 | 구도왕 | ||||||||||||||||||||||
|
|
|
|
|
|
|||||||||||||||||||||
|
|
|
|
|||||||||||||||||||||||
|
|
|
|
|
||||||||||||||||||||||
昔14 유례왕 |
석걸숙 | 내음왕 | 석우로 | 광명부인 |
金13 미추왕 |
김말구 | ||||||||||||||||||||
|
|
|
||||||||||||||||||||||||
|
|
|
||||||||||||||||||||||||
昔15 기림왕 |
昔16 흘해왕 |
金17 내물왕 |
김대서지 | |||||||||||||||||||||||
|
|
|||||||||||||||||||||||||
|
|
|
|
|||||||||||||||||||||||
金19 눌지왕 |
파호왕 |
|
김미사흔 |
金18 실성왕 |
||||||||||||||||||||||
|
|
|
|
|||||||||||||||||||||||
金20 자비왕 |
습보왕 |
|
김내숙 | |||||||||||||||||||||||
|
|
|
|
|||||||||||||||||||||||
|
|
|
|
|||||||||||||||||||||||
金21 소지왕 |
金22 지증왕 |
|
선혜부인 | 김물력 | ||||||||||||||||||||||
|
|
|
||||||||||||||||||||||||
|
|
|
|
|||||||||||||||||||||||
聖23 법흥왕 |
입종왕 |
|
김거칠부 | |||||||||||||||||||||||
|
|
|||||||||||||||||||||||||
|
|
|||||||||||||||||||||||||
聖24 진흥왕 |
김숙흘종 |
|
||||||||||||||||||||||||
|
|
|
||||||||||||||||||||||||
|
|
|
||||||||||||||||||||||||
복승왕 | 동륜왕 | 만천왕 |
聖25 진지왕 |
|
김만명 | |||||||||||||||||||||
|
장인
|
|
|
|||||||||||||||||||||||
|
|
|
|
|
|
|
||||||||||||||||||||
마야부인 김행의 |
聖26 진평왕 |
진정왕 | 진안왕 | 문흥왕 | 김마차 |
|
||||||||||||||||||||
|
||||||||||||||||||||||||||
|
|
|
|
|
||||||||||||||||||||||
|
|
|
|
|
|
|
||||||||||||||||||||
聖27 선덕왕 |
김천명 | 비담 |
聖28 진덕왕 |
김알천 |
眞29 태종 무열왕 |
현성왕 | 흥무왕 | |||||||||||||||||||
|
|
|||||||||||||||||||||||||
|
|
|
||||||||||||||||||||||||
眞30 문무왕 |
김인문 | 무열왕의 딸 | 신영왕 | |||||||||||||||||||||||
|
|
|
||||||||||||||||||||||||
眞31 신문왕 |
|
흥평왕 | ||||||||||||||||||||||||
|
|
|
||||||||||||||||||||||||
|
|
|
||||||||||||||||||||||||
眞32 효소왕 |
眞33 성덕왕 |
|
명덕왕 | |||||||||||||||||||||||
|
|
|
||||||||||||||||||||||||
|
|
|
|
|
||||||||||||||||||||||
개성왕 | 김사소 | 효상태자 |
眞34 효성왕 |
眞35 경덕왕 |
김주원 |
眞38 열조 원성왕 |
||||||||||||||||||||
|
|
|
|
|||||||||||||||||||||||
|
|
|
|
|
||||||||||||||||||||||
眞37 선덕왕 |
眞36 혜공왕 |
김헌창 | 혜충왕 | 헌평태자 | 혜강왕 | |||||||||||||||||||||
|
|
|||||||||||||||||||||||||
|
|
|
|
|||||||||||||||||||||||
眞39 소성왕 |
眞41 헌덕왕 |
眞42 흥덕왕 |
선강왕 | 익성왕 | 성덕왕 | |||||||||||||||||||||
|
|
|
|
|
|
|||||||||||||||||||||
|
|
|
|
|
|
|||||||||||||||||||||
眞40 애장왕 |
헌덕왕태자 | ? |
眞44 민애왕 |
眞43 희강왕 |
眞45 신무왕 |
眞47 헌안왕 |
||||||||||||||||||||
|
|
|
|
|||||||||||||||||||||||
|
의공왕 |
眞46 문성왕 |
궁예(?) | |||||||||||||||||||||||
|
|
|
||||||||||||||||||||||||
|
|
|
|
|||||||||||||||||||||||
성무왕 | ─ | ? |
眞48 경문왕 |
혜성왕 | 문성왕태자 | 문성왕의 딸 | ||||||||||||||||||||
|
|
|
||||||||||||||||||||||||
|
|
|
|
|||||||||||||||||||||||
선성왕 | 흥렴왕 | 박정화 |
眞49 헌강왕 |
眞50 정강왕 |
眞51 진성왕 |
의흥왕 | ||||||||||||||||||||
|
양부
|
|
|
|||||||||||||||||||||||
|
|
|
|
|
||||||||||||||||||||||
朴53 신덕왕 |
김의성 | 김계아 |
眞52 효공왕 |
김억렴 | 신흥왕 | |||||||||||||||||||||
|
|
|||||||||||||||||||||||||
|
|
|||||||||||||||||||||||||
朴54 경명왕 |
朴55 경애왕 |
眞56 경순왕 |
||||||||||||||||||||||||
|
|
|||||||||||||||||||||||||
|
|
|||||||||||||||||||||||||
박언창 | 박언침 | 마의태자 | ||||||||||||||||||||||||
{{{#!wiki style="margin:-5px -10px" | [왕조 보기] | |||||||||||||||||||||||||
[朴] 밀양 박씨 왕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
[昔] 경주 석씨 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 |||||||||||||||||||||||||
[범례] | ||||||||||||||||||||||||||
세로선(│) : 부자, 사위관계 /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혼인관계: 붉은 두줄#= | }}} | }}}}}}}}}}}} |
[1]
황남대총 남분에서 내물 마립간의 유해로 보이는 뼈의 나이가
60대였는데 이 뼈가 진짜 내물 마립간의 뼈라면 내물 마립간은 330년대 중반에서 340년대 초반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2]
전 내물왕릉은
첨성대 서남쪽에 왕릉이 있다는 기록을 토대로
경주 김씨 문중에 의해 비정된 것으로, 역사적 비정으로는 전 내물왕릉이 아닌 인교동 119호분과
황남대총이 유력하다.
[3]
《
태평어람》 등 중국 측의 기록. 왕호
마립간을 달리 표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4]
김대서지의 아들인 실성왕이 내물왕의 조카였다는
기록이 있어 형제일 가능성도 있다.
[5]
《삼국사기》엔 태자가 되었다는 기록이 없으며, 《삼국유사》의 기록이다.
[6]
황남대총의 남분 주인 금동관 머리부터 신발까지의 길이로 추정한 키인데 황남대총 남분의 주인이 내물 마립간이라고 가정하면 내물 마립간의 키는 181cm가 된다.
#
[7]
이는 여러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김씨 왕권 확립,
마립간 왕호 사용,
진한 1개국이던
사로국의 틀을 벗어나 진한 전체의 유일한 맹주로서의 위상 확립 등 이사금 시대와 한층 달라진 신라의 위상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8]
《
태평어람》에도 《삼국사기》와는 연도(382년)와 문장만 다르고 내용은 같은 기록이 실려 있다. 이는 전진의 정사로 추정되는 《진서(秦書)》에서 인용한 것이다.
#
[9]
제56대
경순왕 재위기간(8년)을 합하면 564년간이고 제13대
미추 이사금 재위기간(22년)까지 합하면 586년간이다.
[10]
선덕왕과
원성왕이 자신을 내물왕의 후손으로 내세웠기 때문인데, 정작 선덕왕은 모계 쪽으로 엄연히
태종 무열왕의 혈통을 잇고 있는지라 무열왕계에도 해당되기 때문에 원성왕부터 내물왕계 왕통이 왕이 되었다고 설명하는 편이다.
[11]
김씨 제1대 왕인 미추 이사금이 사위 계승임은 잘 알려져 있지만, 김씨 제2, 3대 왕인 내물 마립간과 실성 마립간도 사위 계승이란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내물왕과 실성왕은 미추왕의 직계가 아니라서 미추왕의 사위 자격으로 즉위한 것이다.
[12]
뒷날의 일이지만
문무왕도
당나라 장군
설인귀와 말다툼을 한 적이 있다.
[13]
신라 역사상 최초로 중국과 외교적 접촉을 한 것이었다. 이때도 신라는 중국과 인접한
서해안에 아직 항구가 없었기 때문에 고구려의 도움을 받아 전진과 접촉할 수 있었다.
[14]
《일본서기》의 가야왕 기본 한기를 《삼국유사》의
금관가야 제5대 임금
이시품왕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15]
신라는 한반도의 동쪽에 있으므로 나중에
진흥왕 때 서해 바다에 항구를 얻기 전까지는 중국에 단독으로 사신을 보낼 수 없었다.
[16]
후대
지증왕의 업적은 신라라는 표기를 '확정'한 것이다.
[17]
종발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여러 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금의
경상남도
양산시 또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한 지역으로 비정되고 있다. 쉽게 말하자면 금관가야의 요충 지역이다.
[18]
《삼국유사》에서는 57년을 재위하였다.
[19]
"柰有靑白赤三種 乃帶切" - 《광운》 〈거성(去聲)〉 권4. 구체적으로는 蟹攝泰韻一等에 속한다.
[20]
"那也柰那通 奴箇切" - 《광운》 〈거성〉 권4. 구체적으로는 果攝箇韻一等에 속한다.
[21]
자세한 사항은
한국 한자음 문서의 반절 부분 참고.
[22]
이렇듯
고대 한국어 시기에는 ㄱ과 ㅎ의 구분이 비교적 모호한 경향이 있었으며, 간(干) 뒤에 존칭접미사 '-기~지'가 붙은 간기(干岐)를 한기(旱岐)로 표기하기도 했다.
[23]
다만 공영방송인 KBS의 다큐멘터리와 경상북도 주도로 편찬된 연구총서인 《신라사대계》 등지에서 '나물 마립간'이라는 명칭을 채택하는 등, 공적인 매체에서 '나물'이라는 발음을 쓰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24]
사진을 찍은 지점이 바로 전 내물왕릉이다. 인교동 119호분은 전 내물왕릉의 지근거리에 소재하고 있다.
[25]
실성 마립간의 무덤이라는 의견도 있다.
[26]
광개토대왕릉비에 언급된 신묘년(391년)의 다음 해(392년)와 그 이듬해(393년)에 해당된다.
[27]
다만 이 말갈은 훗날
여진족,
만주족으로 이어지는
퉁구스계 부족이 아니라, 실제로는
동예 계통 집단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내물 마립간 재위기간에 고구려가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해 강원도 지역에서 신라와 국경을 접하면서 초기 신라와 부딪치는 말갈 기록이 사라진다.
위말갈 문서 참조.
[28]
지금의
강릉시다.
[29]
광개토대왕릉비 영락 10년(400년),
광개토대왕이 보기(步騎) 50,000명의 대군으로
신라-왜 전쟁에서 신라를 구원한 해이다. 《
삼국사기》에는
고구려가
신라를 구원했다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
김부식이 이것을 의도적으로 누락시켰을 가능성은 낮으며, 대신 《
삼국사기》가 저술된
고려 중기 기준으로 1,000년 전의 기록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혹은 고구려의 신라 구원으로 인하여 사실상 고구려의 속국이 된 상태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기록이라고 보는 해석이 있다.
[30]
《
삼국유사》에서는 마립간으로 표기되었다.
[31]
2015년 KBS 드라마 〈
징비록〉에서는 명나라 장수
양호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