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5 23:13:21

남부 민주당원


1. 개요2. 역사3. 현재4. 주요 남부민주당원
4.1. 20세기 이전4.2. 20세기 이후4.3. 21세기
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Southern Democrats

미국 민주당 내부의 남부출신 세력을 통칭하는 표현. 1964년 민권법 제정과 공화당의 남부전략 이후로는 사용 빈도가 많이 줄어들었고 현재는 단순히 남부의 민주당 세력을 의미하지만 학술적으로 혹은 역사적으로 남부 민주당원 기원은 옛날 노예제도를 시행하던 때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들로 계승되는 세력을 주로 의미한다.

2. 역사

남북전쟁 이전 남부의 노예 소유주들은 지방자치를 주장하는 민주당에 입당했고 이들 대부분이 돈이 많은 세력이다보니 당내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민주당의 보수화를 촉진시켰다. 남북전쟁 이전 민주당 소속 대통령들은 북부 출신이더라도 남부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정책적으로 끌려다녀야 했다. 남부 민주당원들은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노예제 반대론자 에이브러햄 링컨에 맞서기에는 민주당 후보 스티븐 A. 더글러스의 스탠스가 충분히 강경하지 못하다고 불만을 가져 강경한 노예제 유지론자인 존 C. 브레킨리지를 남부민주당 후보로 독자출마시켰다. 브레킨리지는 딥 사우스의 선거인 대부분을 가져갔지만, 북부의 지지를 받은 링컨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민주당이 장악한 남부 주들이 연방 탈퇴를 선언하여 남북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전후 잠깐 민주당원들의 참정권이 박탈된 재건 시기가 있었지만,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대혼란 이후 1877년의 타협으로 남부 주들의 '자치'가 보장되었고 흑인 투표권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박탈되어 침략자인 공화당이 발을 붙일 수는 없었으므로, 남부 주들은 사실상 민주당이 유일한 당인 1당제로 운영되었다. 크게 보면 2개의 계파가 있었는데, 지주 및 인종차별주의자들의 주류 계파(일명 ' 버번 민주당' 또는 '리디머')와 중도 개혁적인 소장파가 한지붕 두살림을 하였다. 아무래도 남부 민주당원들의 지지만으로는 대통령이 되기 힘들었기에, 남북전쟁-1차대전 시기에 가뭄에 콩 나듯 배출된 민주당 대통령들인 클리블랜드와 윌슨은 지역적으로는 북부 기반에 어느 정도는 개혁적인 성향을 가졌다. 하지만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도 남부의 민주당 보수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그러나 남북전쟁 전후 장기집권을 하게 되면서 보수화되는 공화당에 맞서 진보화되는 민주당[1] 불협화음을 유발하기 시작한다. 뉴딜정책을 통해 공화당 골수지지성향이 강하던 흑인을 비롯한 소수인종들이 새로이 민주당 지지층으로 편입되면서 기존에 박혀있던 인종차별주의자들이 소수인종과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된것이었다. 이들은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에 반발해 공화당과 보수연합을 구축하기도 했으며, 1940년대부터 독자 출마를 감행하면서 서서히 삐걱대기 시작한다. 1948년 선거의 주권민주당, 1968년 선거의 미국독립당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외에도 1952년에는 공화당의 아이젠하워를 지지하기도 했고[2], 1960년에는 미시시피,앨라배마의 선거인단 일부가 케네디에게 배신을 때려버리는 돌발사태도 일부 있었다. 그나마 1930년대에는 경제재건, 1940년대와 50년대에는 2차 세계대전 및 6.25 전쟁 참전으로 뉴딜연합으로 어느정도 묶어내기라도 했지만 6.25 전쟁이 끝나고나니 인종차별주의자들과 흑인과의 불편한 동거를 묶어내는 끈이 사라지면서 흩어지게 된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 단위의 민주당과 교류하는 남부 정치인들은 중도주의 성향을 띄는 일이 많았다. 1950년 이후 남부 민주당 출신 대통령인 지미 카터, 빌 클린턴 모두 중도주의 성향이었다. 이들은 남부의 보수적인 민주당원들과 어느 정도 충돌하면서도 남부 출신이라는 이점을 내세워 남부 선거인단 상당수를 가져갈 수 있었고, 반대로 북부 출신 민주당 후보들은 당선에 꼭 필요한 남부 주의 선거인단을 확보하지 못해 대선에서 패배하는 일이 잦았다. 애초에 카터나 클린턴이 민주당 대선후보로 선택된 것 자체가 공화당으로 넘어가려 하는 남부 민주당원들을 어떻게든 어르고 달랠 목적이 강했다.

이후 닉슨의 남부 전략으로 인해 남부 민주당원들이 조금씩 공화당으로 넘어가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남부는 서서히 공화당 우세지역으로 전환되었다. 그나마 상하원 단위는 1992년 선거때까지 우세했으나 1994년 중간선거를 기점으로 남부지역에서 남부지역의 민주당 의원들이 대거 낙선하고 공화당 의원들이 당선되면서 상하원조직에서도 공화당에게 우위를 넘겨주게 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클린턴이 재선한 뒤로도 바뀌지 않았다. 또한 2000년 대선에서는 민주당이 남부 테네시 출신 앨 고어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음에도 홈스테이트 테네시를 포함해 남부 주를 단 하나도 가져오지 못하면서 석패하기에 이르렀다.

다만 의외로 미국 남부에서 민주당 지지세가 약해지고 공화당 지지세가 강해지는 변동이 두드러지게 일어난건 꽤 최근의 일로, 상당수 남부 주들에서는 2000년대-2010년대 초중반까지도 민주당이 주정계에서는 공화당 대비 우세를 점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연방 단위 선거에서 역시 2000년대-2010년대 초중반까지는 민주당이 공화당에 완전히 밀리지 않았다.[3]

또한 1950년대-70년대에 인종 통합이나 민권법 등에 반대했던 백인우월주의적인 민주당 소속 연방 상,하원 의원들 역시 정계를 은퇴할때까지 민주당 소속으로 8-90년대, 늦게는 00년대까지도 당선되어 당적 변경 없이 커리어를 마감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으로 인종차별주의적 성향을 가졌던 민주당 소속 미시시피주 출신의 연방 상원의원이었던 존 C. 스테니스(John C. Stennis), 제임스 이스트랜드(James Eastland), 심지어 KKK 소속이었던 웨스트버지니아주 출신 연방 상원의원 로버트 버드 (Robert Byrd)등의 남부 민주당원이 전형적인 이런 사례에 해당한다.[4]

결국 남부 민주당원들이 공화당으로 제대로 넘어가기 시작한 것은 이미 인종차별 철폐나 민권법 이슈는 이미 끝난지 오래된 90년대-00년대이며, 이 시기에 당적을 바꾼 남부 민주당원들도 인종 통합과 민권법등에 반대하면서도 끝까지 민주당에 남았던 대다수의 남부 민주당원들과 달리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민권법 등에 찬성하는 쪽이었다.

3. 현재

남부가 공화당 우세로 돌아선 이후에도 가뭄에 콩나듯이 전통적 민주당 지지자는 남아 있으며, 그러다 보니 의외로 지방 차원의 민주당 정치에 영향력이 어느정도 있는 경우도 있다. 이들을 청견연합이라고 한다. 하지만 남부 및 썬벨트 지역에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민주당 지지층이 유입되면서 이들의 영향력이 점점 줄어들고 있고 전통적인 남부 주들 중에서도 조지아와 노스캐롤라이나, 워싱턴 광역권에 속한 북부를 중심으로 아예 블루 스테이트화된 버지니아 등에서는 민주당 지지세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의 성향은 남부 민주당원들의 역사적 성향과는 완전히 다르고 전국적인 민주당 지지층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2020년대에 이르러 남부주의 민주당은 민권운동으로 참정기회를 얻은 유색인종 + 잔류한 민주당원 들로 크게 구성되어 전미단위의 민주당과 성향 차이가 거의 없는 편이다. 오히려 백인 민주당원의 탈당으로 남부의 민주당원 사이에서 흑인/히스패닉의 비중이 높아지다보니 전국 민주당보다 더 진보적인 정치인이 나오는 재밌는 현상이 나오기도 한다. 가령 버니 샌더스의 지지를 받은 2022년 켄터키 상원의원 후보 찰스 부커(Charles Booker)나 코리 부시 미주리 하원의원, 그렉 카사르 텍사스 하원의원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5]

보통 민주당이 우세한 히스패닉이 플로리다 텍사스를 중심으로 유입되고 있기는 한데, 두 주를 제외한 나머지 남부 주의 히스패닉 인구는 많아 봐야 10%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 중에 플로리다로 유입되는 히스패닉들은 보수 성향인 경우가 많아[6][7] 남부의 민주당 지지세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기도 한다. 또 남부로 유입되는 히스패닉은 인종 정체성보다는 세대별로 지지 정당이 갈리는 경우가 더 많다는 분석도 있다.[8]

현재 미국 상원의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들 중 미시시피, 앨라배마 등 남부 주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몆명은 실제로 민주당 소속으로 정계 입문을 한 남부 민주당원이었으나, 90년대-00년대(늦게는 2010년대 초반) 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겨 당선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앨라배마 주지사 케이 아이비가 이런 사례이다.

이들이 민주당에서 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긴 시기인 90년대-10년대는 본격적으로 미국 남부에서 민주당세가 서서히 약해지고 공화당세가 강해지던 시기로, 미국 남부 지역의 정치적 환경 변화를 보여주는 인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4. 주요 남부민주당원

4.1. 20세기 이전

4.2. 20세기 이후

보수주의 민주당원
중도,진보성향 남부 민주당원/신남부 민주당원
공화당으로 이적
무소속으로 활동

4.3. 21세기


공화당으로 이적

5. 여담

6. 같이 보기


[1] 민주당의 진보화는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이 그 시초였지만, 집권하지 못하고 그나마도 상당수의 정책을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대신 도입하면서 빛이 바랜면이 있고, 우드로 윌슨도 개혁파이기는 했지만 윌슨 역시 인종차별 해소와는 거리가 있던데 반해, 프랭클린 루스벨트 뉴딜정책을 통해 흑인들에게 호감을 얻었고, 그 이전까지 공화당 골수지지파였던 흑인들의 정치성향을 민주당쪽으로 다수 돌려놓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수십년 넘게 박힌돌이었던 인종차별적인 당원들도 여전히 민주당에 남아있기에 갈등이 있는게 당연했다. [2] 이들은 아이젠하워가 민권 발전을 지지하자 1956년에는 지지를 철회한다. [3] 마찬가지로 이때까지만해도 북동부에서도 공화당이 연방 단위의 선거에서도 당선자를 꽤 배출하기도 했다.의외로 미국 정치에서 지금과 같은 지역구도가 뚜렷해진것도 생각만큼 오래된건 아니라는 소리. [4] 이 중 2010년 사망시까지 정계에서 계속 활동해왔던 로버트 버드의 경우 2000년대 이후로는 과거 본인의 행동에 대해 반성하는 발언과 2008년 대선에서 오바마를 지지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기도 하였다 [5] 다만 라파엘 워녹이나 발 데밍스 같이 흑인이면서 보수적인 사람도 많다. [6] 주로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쿠바나 베네수엘라 등에 대한 반감 때문. [7] 텍사스인 경우는 멕시코계가 많다. [8] 노년층 히스패닉이 청년층 백인에 비해 더 공화당을 많이 지지한다. 노령화가 심하기로 유명한 주인 플로리다에서 히스패닉이 보수성을 띄는 이유 중 하나이다. [9] 남북전쟁 이전 남부 민주당원들 중 드문 연방지지파였다. [10] President pro tempore [11] 그러나 죽을 때까지 민주당을 탈당하지는 않았다. [12] 단, 린든 B. 존슨은 다른 남부 민주당원과 달리 인종 문제, 경제 문제에 있어 진보 성향을 띄었다. 허나 알려진 것과 달리 남부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민권법 제정에 종종 어깃장을 놓으며 방해했다는 분석도 있다. [13] 인권 대통령으로 알려져있지만 재정적으로 매우 보수적이었기 때문에 북부 민주당원과 갈등을 빚었다. 역사가 아서 슐레진저 2세는 그를 클리블랜드 이후 가장 보수적인 민주당 대통령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14] 작중에서도 공화당이나 할법한 정책을 밀어부쳐 진보 성향 의원과 투닥거리는게 거의 메인 플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