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6 22:15:40

김포 버스 33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김포33_9317.png
파일:김포33_매그넘.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전4.2.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후4.3. 사건/사고4.4.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일반형버스 3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포 33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리(고다니마을9단지) 종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일산동구청)
종점행 첫차 04:20 기점행 첫차 05:20
막차 23:20 막차 00:20
평일배차 30~40분 주말배차 50~70분
운수사명 선진버스 인가대수 21대[1]
노선 고다니마을9단지 -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 - 고다니8단지 - 구래역 - 마산역 - 뉴고려병원 - 가현초등학교.장기동행정복지센터 - 수정마을 - 장기마을입구.검은다리 - 일산대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킨텍스 - 대화역 - 현대백화점 - 일산노인종합복지관 → 강선마을16.17단지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 → 웨스턴돔 → 일산호수공원 → 일산노인종합복지관 - 이후 역순

2. 개요

선진버스에서 운행했던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김포시 양촌읍에서 정발산역(일산동구청)를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45km이다.

3. 역사

  • 2014년 9월 1일에 개통하였다. 관련 게시물 그동안 한강신도시에서 일산까지 바로 가는 버스가 없어 장기사거리까지 나와 97번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에 신도시 주민들의 지속적인 민원과 시청의 노력으로 개통하게 되었다.
  • 2017년 4월에 수도권 최초로 중국산 전기버스 저상버스 10대가 투입되었다. 관련 기사
  • 중국산 전기 저상버스로 완전히 교체되면서 파주선진 차고지 주박이 없어졌고, 이에 따라 2017년 7월 14일에 첫/막차 시간이 변경되었다. 전기버스 충전 문제로 인해 부득이 이렇게 한 것으로 보인다.
    • 양곡 첫차 : 04:30 → 04:20
    • 정발산역 첫차 : 변동 없음.
    • 양곡 막차 : 23:10 → 23:20
    • 정발산역 막차 : 00:20 → 00:30
  • 2018년 7월 1일에 곡촌3단지 경유로 변경될 예정이었지만 무산되었다. 김포시 공지사항
  • 2019년 9월 28일에 33-1번의 분리신설을 위해 4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8~20분으로 조정된다. 또한, 신양중학교 대신 곡촌마을1~3단지를 경유하고, 북변동, 풍년마을, 걸포동을 미경유하여 장기마을입구.검은다리 정류장에서 바로 일산대교로 진입하도록 변경된다. 본래 8월 1일에 변경될 예정이였으나 김포 골드라인의 개통이 지연됨에 따라 연기되었다.
  • 2023년 1월 20일에 2000번과 통폐합되어 폐선되었다.[2] 본래는 2023년 1월 16일부로 시행 예정이었으나 노선 확정이 늦어지면서 연기되었다. #

4. 특징

4.1.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전

파일:김포 33 노선도(2014).png
분리 전 노선도. 굴곡졌던 선형을 볼 수 있다.
  • 분명 한강신도시 주민들의 요청으로 만들어지고 양곡과 일산을 잇는 노선은 맞는데, 수익성을 이유로 김포 원시가지 중심지인 풍년마을(김포고)까지 들어갔다가 유턴 후 일산대교를 건넌다. 원래 만들려던 노선은 '양곡 - 한강신도시 - 장기사거리 - 걸포동 - 일산대교'였는데, 이것이 '양곡 - 한강신도시 - 장기사거리 - 걸포동[3] - 풍년마을.김포고(서울 방면) - 풍년마을.김포고(강화 방면) - 걸포동 - 일산대교'가 되어버린 것. 여기에서 거의 20분 가까이 날아간다(...) . 계속 타고 있자면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 심지어 반대 방향인 일산→한강신도시 노선도 마찬가지로 김포고, 풍년마을을 찍고 들어간다. 한마디로 똑같이 시간이 더 걸리는 것도 물론이요, 김포고 정류장에서는 똑같은 방향, 똑같은 장소에 일산으로 가는 버스와 한강신도시로 가는 버스가 모두 오는 상황. 덕분에 잘못타면 한강신도시로 가려다 일산으로 갈 수도, 일산으로 가려다 한강신도시로 가는 불상사가 터질 수 있다.(...) 그러니 버스 앞에 방향 표시판을 보거나 기사에게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 물어봐야 했다.
  • 물론 기존에 일산대교를 경유하여 김포와 일산을 잇던 노선들의 암울한 사례를 보면 노선이 이 모양이 되는건 어쩔 수 없었을 지도 모른다. 본격적인 한강신도시 개발 전 시범지구였던 장기지구 입주 초기 대명항 대화역을 잇던 김포운수 605번이, 또 강화터미널에서 한강신도시를 살짝 스쳐 경유하여 대화역까지 운행하던 강화운수 80번, 이외에도 계양역과 대화역을 잇던 300번, 북변동을 경유했던 550번, 존재감 없는 15번 일산대교를 경유하여 운행하던 노선들은 하나같이 저조한 수요로 인해 폐선의 길을 걸었다. 구도심 또는 신도시에서만의 수요로는 부족했는지 두 곳을 모두 지나는(...) 방법을 선택한 것.
  • 비록 업체 입장에서는 폐선 방지를 위한 수익성 재고의 결과겠지만, 이 노선을 원했던 신도시 주민들에게는 레전드급 굴곡 노선이다. 이 풍년마을 유턴을 위해 거치는 원도심 구간은 김포시 도로교통의 상막장이 열린 곳들(...)로, 이 때문에 원도심을 운행하는 동안 2~3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결국 60-3번, 81번 혹은 이 버스를 타고 가다가 장기사거리에서 내려서 97번 기다리는 편이 33번을 타고 원도심 투어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먹혔다. 결국 신도시에서의 33번은 81, 81-1과 함께 원도심 셔틀로 전락했었다(...)
  • 그러나 구도심에서는 사정이 달랐다. 기존 고촌을 지나 김포대교를 타고 일산으로 돌아가는 96번과 달리, 김포고 유턴 뒤 걸포동을 지나 바로 일산으로 꽂아주므로 96번의 경쟁노선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화역이나 킨텍스 쪽으로 갈 경우 96번을 타는 것보다 많은 시간이 절약된다. 무엇보다 96번은 대화역하고 킨텍스를 가지 않는다.
  • 결론은 기껏 신도시를 위해 노선을 만들었더니 오히려 구도심에서 인기있는 노선이 되어 버린 셈.[4] 사실 이 노선에서 쌓인 한을 풀고 싶었던 거다.[5]
  • 33번이 신설되면서 605번 이후로 고양시에서 철수했던 선진버스가 이 노선으로 다시 한번 일산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리고 얼마 후 2000번을 인수하면서 고양시 진출 노선을 하나 더 갖게 되었고, 김포 도시철도 개통일에 맞춰 김포시 버스노선들이 개편을 함에따라 33-1번이 분리신설 되면서 순식간에 3개로 늘어났다.
  • 인가대수는 17대였으나 처음부터 20대나 뽑아서 열정적으로 운행했지만 한계가 있었는지 81번 등 타 노선으로 빠지거나 예비차로 격하된 차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른 배차간격 증가는 덤.
  • 과거 신성여객에서 운영하던 파주 버스 33과 일부 구간이 겹쳤다. 이 때문에 노선번호 앞에 '김포'라고 따로 표기하였는데, 지금은 해당 노선이 폐선되어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지만, 그동안 '김포33'이라고 쓴 게 익숙해졌는지 새로 들여온중국산 전기버스까지도 측면 행선지를 포함해 전면 LED까지 김포33으로 표기해놨다. 물론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보성군 농어촌버스의 예시와 달리 노선명 자체가 '김포 버스 김포33' 따위가 된 건 아니다.
  • 노선 인가상에는 한강신도시-북변사거리-북변환승센터-김포고(유턴)-북변환승센터-걸포사거리- 일산대교 노선으로 왕복해서 걸포동을 경유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는 한강신도시-북변사거리-김포초교-김포고(유턴)-북변환승센터-걸포사거리- 일산대교 구간으로 운행하고 있었다.(하행도 마찬가지) 따라서 이 구간을 지날 때 종종 BIS에서 차가 사라졌다 순간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선진버스 측에서는 인가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빠른 시일 내 BIS를 수정하겠다고 하지만 2016년 2월 1일까지도 여전히 이 문제는 고쳐지지 않고 있었는데 드디어 경로변경이 이루어졌다. 다만 이 와중에 김포방향의 김포고 정류소를 빼먹었다(...)
  • 선진버스 측에서 밝힌 노선 변경 이유는 북변동·검단 주민의 교통 편의 증진이다. 운행 첫 날부터 이렇게 다녔는데 약 2년이 돼서 해결되었다. 김포 도시철도 개통이후 풍무동이나 북변동 주민들은 33-1번을 이용해야 한다.
  • 한편 한창 증차가 되었던 2016년경에는 김포시가 아닌 일산 지역에서 의외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대화역에서 KINTEX 제2전시장으로 갈 수 있는 가장 가성비 좋은 해결책이기도 했다. 기존 제1전시장의 경우 고양시 마을버스 039, 082 등이 빗자루질을 하고 있지만 제2전시장은 역에서 도보로 30분 이상 걸린다. 물론 제2전시장을 회차점으로 하는 버스노선이 몇 개[6] 있지만 죄다 광역노선이나 시외버스이고[7] 그나마도 한 시간에 몇 대 없는데. 김포 33번을 타고 건설센터에서 내려서 빤하게 보이는 제2전시장까지 5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물론 97번을 타도 되지만 이 노선은 주말의 경우 거의 20분에 한 대씩 오는 노선이라 사실상 있으나마나했는데, 33번이 증차되면서 숨통이 상당히 트였다.
  • 그러나 이제는 089번 마을버스가 더욱 가까이 내려주고, 33번 배차간격이 거의 97번과 맞먹을 정도로 배차가 반토막나버렸기 때문에 제2킨텍스 셔틀이란 타이틀은 무색해졌다.
  • 그리고 전기버스 운행으로 인해 2017년 하반기 들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은 인가대수 19대가 맞나 싶을정도로 벌어진 배차간격이다. 평일 낮 배차는 고양 버스 97과 맞먹는 20분 가량에, 평일 출퇴근시간이 그나마 예전의 평일 낮 배차 정도인 10 ~ 15분이고, 평일 밤 8시 30분 이후나 주말/공휴일은 거의 30분 이상이다. BIS를 앱 등으로 찍어보면 일산대교-일산동구청 양 방향 구간에서 배차중인 버스가 꼴랑 1대, 심지어는 단 1대도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차량혼잡도 상승은 덤. 그래서 현재 선진에서는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하는데...좌석시트로 개조하면 끝 아닌가? 전기버스를 딱히 투입할 노선이 없기 때문에 당분간은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듯하다.

4.2.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후

  • 고양시 구간은 33-1번과 노선이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김포 원도심(걸포, 북변, 사우, 풍무 등)이 목적지인 경우 33-1번을 타야한다. 반대로 한강신도시(구래, 마산, 장기 등)가 목적지인 경우에는 이 노선 그대로 타면 된다.[8]
  • 2020년 들어 코로나19로 인한 감차로 평일 배차간격이 감차 전 시절의 주말 배차간격보다 길어지는 현상이 지속되었다. 평일 출퇴근시간 배차간격만 20분 이상 벌어지며, 평일 평시나 주말은 거의 30~40분까지 벌어지는 일도 자주 발생되었다.[9] 심지어 2021년에 들어서는 평일 기준 30~40분, 주말은 무려 1시간에 한 대가 올 정도로 배차간격이 더욱 안좋아지면서 승객들의 불편은 과거 10분에 한대 다녔던 노선이 맞나 싶을정도로 불편이 커지는 상황이 이어졌다. 김포-일산 간 이동하는 수요는 있으나 운행 여건이 점점 악화되면서 배차간격은 점점 증가되고 기존에 이용하던 승객들은 타 노선을 이용하는 등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결국 운행중단 직전 시절에는 평일 러시 아워 시간에도 1시간이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 김포 골드라인 개통 이후로 과거 사우동에서 유턴했던 양방향 정차 구간이 사라졌지만, 이후에도 일산 방향과 김포 방향을 구분하는 행선판을 사용했다.
    한강신도시 방향 일산동구청 방향

    구래동 일산행

4.3. 사건/사고

  • 2017년 9월 13일 김포 구래동 오라니마을 사거리 교차로에서 보행자 신호 중 자전거를 타고 건너던 중학생 A군이 신호를 무시한 채 우회전하는 버스에 치여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끝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관련 기사 추가로 해당 교차로는 자전거 전용 횡단로(보행자 횡단보도의 끝 부분에 실선으로 표시된 공간)가 설치되어 있어 자전거에서 내리지 않고 건너도록 되어 있는 교차로이므로 자전거를 타고 교차로를 건넌 학생 측은 책임이 없다.
  • 2018년 7월 2일에 정비 중이던 AVIC 전기버스 한 대에 불이 나 해당 차량의 배터리 1개가 전소되었다. 관련 기사 당초 충전 중 발화되었다고 보도되었는데, 이후 정비 중 화재가 난 것으로 정정되었다. 이 화재사고로 인하여 일부 차량은 휴차에 들어가고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다시 투입되었다가 다시 복귀되었다.

4.4. 노선

김포시 일반형버스 33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auto -11px"
SK엠시티
20705
<colbgcolor=#3c9><colcolor=#fff> <colcolor=#fff> ← <colcolor=#fff> 웨스턴돔
20514
<colcolor=#fff>
일산호수공원관리사무소
20655
종점 일산동구청(중)
20227
일산호수공원
20177
일산동부경찰서(중)
20206
대우.삼성오피스텔
20155
강선마을16.17단지
20697
이상 회차 구간
일산노인종합복지관
20138
일산노인종합복지관
20140
문촌17단지신안아파트
20636
가로수길
20696
현대백화점
20583
현대백화점
20560
킨텍스후문
20597
-
킨텍스삼거리
20637
-
장촌초등학교
20596
장촌초등학교
58330
대화역
20086
대화역
20085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
20076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
20077
한국건설기술연구원.킨텍스
20557
한국건설기술연구원.킨텍스
20558
대화마을입구삼거리
20632
대화마을입구삼거리
20633
자유로출입
미정차
자유로출입
미정차
한옥마을입구.검은다리
35212
장기마을입구.검은다리
35213
-
장기사거리.수정마을
35211
수정마을.휴먼시아
35623
수정마을.쌍용예가
35622
캐널시티
35785
캐널시티
35784
가현초등학교.장기동행정복지센터
35628
가현초등학교.장기동행정복지센터
35629
장기고등학교
35536
장기고등학교
35526
반도유보라.우미린아파트
35503
우미린.반도유보라아파트
35494
고창마을.반도유보라후문
35504
타운하우스
35506
뉴고려병원.이니스더원
35493
뉴고려병원
35509
김포생활체육관
35694
김포생활체육관
35695
마산역
35685
마산역
35684
힐스테이트.경남아너스빌
35660
힐스테이트.경남아너스빌
35659
솔터마을입구
35643
솔터마을입구
35642
구래역
35195
구래역
35196
호수마을이편한세상.한가람우미린
35640
한가람마을우미린.호수이편한세상
35641
이편한세상.한강아이파크
35911
휴먼시아9단지
35917
고다니8단지
35608
고다니8단지
35306
신양초교
35592
신양초교
35595
곡촌1.2단지
35633
곡촌1.2단지
35639
곡촌3단지
35612
곡촌3단지
35611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
35467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
35117
곡촌마을.무지개희영아파트
35598
고다니마을7단지
35599
오라니마을 · 고다니마을9단지
35645 · 35644
}}}}}}}}} ||

5. 연계 철도역


[1] 코로나19로 인해 실제로는 10대 미만으로 운행했다. [2] 안내문은 운행중단으로 되어있지만 대놓고 2000번이 대체 노선이기 때문에 비슷한 구간으로 본노선 개통을 할 가능성이 없다보니 사실상 폐선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3] 물론 이것도 수익성을 위한 선진 측의 무단(...) 노선 변경으로 걸포동이 아닌 북변택지와 구시가지를 경유한다. 아래 참조. [4] 물론 이는 목적지가 일산인 경우 한정으로, 신도시에서 33번 타고 김포시내 가는 수요는 그 이상으로 매우 많다. 그러라고 만들어 준 노선이 아닐텐데 [5] 선진에서는 M6427을 김포시내-고촌-올림픽대로 루트로 운행하려고 했으나, 한강신도시 주민단체의 강력한 민원세례로 인해 김포 한강로 직통안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M6427의 경우 원래 계획 노선이 한강로 직통안이며, 김포시내 경유루트는 한강신도시의 입주 부진으로 공기수송이 우려되자 나온 고육지책이다. 이게 핌피로 인해 원안대로 밀어붙여진 것. [6] 그 중 하나가 고양 058번인데, 이 노선은 한류월드 지구 독점 경유로 인해 대화역까지 우회한다. 062번은 애초에 이마트 킨텍스점을 노린거라 탈락. [7] 즉 버스요금이 일반 시내노선의 2배 가량. 게다가 8109번은 일반 광역보다 더 비싸다! [8] 2023년 1월 20일부터는 이 노선이 운휴되면서 대신 2000번이 한강신도시를 이어준다. 다만 33번 시절 노선과 다르게 2000번은 중앙차로만 경유한다. [9] 게다가 저상 전기버스의 좌석수가 20석이 안될정도로 매우 적다보니 입석이 평소에도 자주 생기는 편이다. [10] 일산동구청(중)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