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01:16:51

길옥윤

길옥윤[1]
吉屋潤 | Kilok Yoon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8041803105630003600-001.jpg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본명 최치정(崔致禎)
본관 전주 최씨 (全州 崔氏)
출생 1927년 2월 22일
평안북도 영변군
사망 1995년 3월 17일 (향년 68세)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강동성심병원
학력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전문부[2] (치의학 /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 석사)[3]
가족 배우자 패티김(1966 ~ 1973)[4], 그 외 가족사항[5]
종교 장로회
데뷔 1962년 현미 '내 사랑아'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표곡5. 저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작사가, 작곡가, 색소폰 연주자, 치과의사.

2. 생애

1927년 2월 22일 평안북도 영변군에서 영변군 공의(公醫)였던 아버지 최경일(崔鏡一)과 어머니 김신실(金信實) 사이의 5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평양 종로국민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다. 광복과 함께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가 서울대학교로 통합되면서 1949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전문부 치의학과를 졸업했다. 1981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관악기연주자의 교합상태에 관한 연구'로 치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0년 초 도쿄로 건너가 오자와 히데오(小澤秀夫)에게서 재즈 음악과 색소폰 연주법을 배웠다. 1952년 일본에서 주일미군 캠프촌을 순회하는 악단을 조직, 본격적인 재즈맨이 되었으며 이 때 일본 문인들의 이름을 본따서[6] 요시야 쥰(吉屋潤, 길옥윤)으로 예명을 정했다.

1960년 도쿄 스윙 오케스트라 악단을 인솔하고 서울에 귀국하여, 1962년에 이봉조의 권유로 당시 1집 앨범을 준비중이던 현미의 1집에 수록된 길옥윤의 정식 데뷔곡 <내 사랑아>라는 곡을 발표하였다. 실제로 이 인연으로 길옥윤 고별 콘서트에서 현미가 이 곡을 첫무대로 선보였다.

1966년 다시 서울에 왔을 때 〈서울의 찬가〉를 동아방송을 통해 발표하고, 그 해 연말 미국에서 돌아온 인기가수 패티김과 결혼, 신혼여행을 겸해 베트남을 위시하여 동남아와 유럽 등지로 순회공연 길에 올랐다.

1967년 홍콩에서 「빛과 그림자」를 발표했다. 1969년 첫딸 정아가 태어났다. 축하의 의미로 정아가 만 20세가 되어 성인이 된다는 뜻으로 〈1990년〉이라는 곡을 발표했다.

1971년 뉴욕에서 「이별」이라는 곡을 만들었다. 1973년 패티김과 이혼했다. 1974년 TBC TV 주최 도쿄국제가요제에 참가하여 〈사랑은 영원히〉라는 곡으로 패티김이 입상했다.

1976년 〈당신은 모르실거야〉라는 곡으로 신인가수 혜은이를 발굴했으며, 1977년 MBC TV 주최 서울가요제에서 혜은이가 부른 〈당신만을 사랑해〉로 그랑프리를 획득했다. 1977년 11월에는 한국을 대표하여 도쿄 야마하 재단 주최 세계가요제에 참가하였으며, 1978년 뉴질랜드에서 열린 제1회 태평양가요제에 혜은이가 출전하여 금상을 수상했다.

1979년 12월 이화여자대학교 출신인 전연란(全蓮蘭)과 재혼했다.

1981년 작곡가 박춘석과 함께 태양음악주식회사 창설 기념으로 〈길옥윤 전집〉(LP 2매)을 출반했고, 1988년 서울예술전문대학 실용음악과[7] 주임교수(학과장)로 취임했다.

1984년 2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제10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1985년 1988 서울 올림픽 공식 주제가로 김연자가 부른 〈 아침의 나라에서〉가 당선되었다. 그러나 모종의 이유로 손에 손 잡고로 변경되었다. 손에 손 잡고 참고.

1989년 신사동에 ‘창고(倉庫)’라는 음악 업소를[8] 운영하였는데 부채가 늘어나자 1992년 업소를 도쿄 아카사카로 옮겼다. 도쿄에서 〈애수(哀愁)의 색소폰〉이라는 그의 히트곡 연주곡집을 CD로 출반했다.

1994년 4월 척추 수술을 받았고, 같은 해 6월 SBS TV에서 그의 마지막 콘서트가 방송되었다.

1994년 10월 부산 동래시민병원에 입원했을 때 〈 부산찬가〉·〈2002년〉 등을 작곡했으며, 1995년 2월 김수환 추기경으로부터 영세를 받았다. 투병 중에도 눈을 감는 마지막 순간까지 300여 곡을 악보에 기록하였다.
파일:external/ssl.pstatic.net/20070518181610197314302.jpg
말년의 모습

1995년 3월 17일,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강동성심병원에서 폐암과 척추암으로 투병하다가 세상을 떠났다. 같은 해 3월 21일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연예협회장으로 영결식을 거행하고, 운구 때 패티김이 〈 서울의 찬가〉를 눈물로 불렀다. 문화훈장 보관장을 추훈받았다. 10월 23일 세종로 공원에 〈 서울의 찬가〉 노래비를 서울시에서 건립하였다.

3. 여담

  • 그는 특히 패티김, 혜은이, 현인, 장혜리 등 당시 쟁쟁한 가수들의 많은 히트곡들을 작사, 작곡했다.
  • 특이하게 마셜 제도 국가도 작곡한 이력이 있다. 1991년, 길옥윤이 일본에 머물던 중 지인의 초대로 방문한 마셜군도의 업무용 빌딩 기공식에서 불은 색스폰 연주를 일본계 아마타 카부아 초대 대통령[9]이 듣고 반해 국가 작곡을 부탁한 연유라고 한다. # 전술한 대로, 그가 젊은 시절 일본에서 활동하면서 가진 예명 때문에 먀살제도 국가 설명에는 그의 한국 성명에 이어 일본식 이름도 참고로 병기되고 있다. #
  • 패티김과 결혼했으나 6년 만에 이혼했으며 슬하에 딸이 있는데, 그 딸은 패티김이 키웠다. 패티김과는 심하게 성격이 안 맞아 이혼했다. 패티김의 성격이 워낙 칼같아 술 담배를 아예 멀리하는 것은 물론이고, 일어나고 잠자는 시간이 항상 일정하고 매일 같은 시간에 식사를 했지만 길옥윤은 밥보다 술을 더 많이 먹을 정도로 술을 많이 먹었으며 생활도 불규칙하고, 자기 하고 싶은 대로 살았다. 패티김과의 이혼 후에 혜은이와의 열애설이 났지만 다른 여자와 재혼했다.
  • 그 후 2020년 7월 13일 KBS 가요무대에서 길옥윤의 작품을 주제로 방송되었다. #
  •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쓰이던 문화방송 시보음을 박춘석, 엄기돈, 정서봉과 같이 작곡하였다. 이후 해당 시보는 32비트 신디사이저음으로 대폭 개량되어 지금에 이른다.
  • 여성 코미디언이자 성우인 백금녀와 같은 날에 별세했다.

4. 대표곡

가수 제목
패티김 서울의 찬가
4월이 가면
이별
1990년
그대 없이는 못 살아
빛과 그림자
서울의 모정
하와이 연정
9월의 노래
사랑이라는 두 글자
사랑이여 다시 한 번
사랑은 영원히
연인의 길
사랑하는 마리아
사랑하는 당신이
인형의 눈물[10]
혜은이 당신은 모르실거야
진짜진짜 좋아해
그대와 둘이서
뛰뛰 빵빵
당신만을 사랑해
서울이여 언제까지나
감수광
영원히 당신만을
제3 한강교
새벽비
후회
옛사랑의 돌담길
잊게 해주세요
남진 사랑은 어디에[11]
장혜리 오늘 밤에 만나요
이시스터즈 별들에게 물어봐
세샘트리오 나성에 가면
쟈니리 내일은 해가 뜬다
김연자 아침의 나라에서

시가 및 국가
마셜 제도 마셜 제도여 영원하라[12]
광주광역시 광주시민의 노래
대전광역시 대전의 찬가

5. 저서

  • 영원히 당신만을 - 신원문화사. 1980.
  • 알기 쉬운 경음악 편곡집(번역) - 마쓰다 마사시 저. 세광음악출판사. 1988.
  • 길옥윤 참회록: 이제는 색소폰을 불 수 없다 - 조선일보사 출판국. 1995.

[1] 길옥윤은 일본 예명인 吉屋 潤(요시야 준)을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의 성씨에 길(吉)씨가 있다 보니 성은 길씨, 이름이 옥윤으로 잘못 아는 경우가 많다. 마셜 제도 국가 작곡 뉴스에도 '吉(길)씨는...' 이라고 적혀 있고, 여러 사람들의 인터뷰 자료에서도 '길 선생님'하는 식으로 호칭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그 예시이다. [2] 경성제국대학과 여러 구제전문학교를 통합하여 설립된 서울대 초기에는 전문학교 과정을 '전문부'로 구분하였다. [3] 석사 학위 논문 : 管樂器演奏者의 咬合狀態에 關한 硏究(관악기연주자의 교합상태에 관한 연구). [4] 패티김과의 사이에서 얻은 첫째 딸(최정아)은 패티김이 양육하였고, 길옥윤은 재혼한 부인 전연란과의 사이에서 둘째 딸(최안리)을 얻었다. [5] 누나나 남동생이 몇 명이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친동생(남자)이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그 친동생은 배우 정한용과도 인연이 있어서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찾았는데, 이름은 최치갑이고, 형인 길옥윤처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나와서 부산광역시에서 개인병원을 개업했다. 나이는 1943년생으로 길옥윤보다도 훨씬 어리고, 정한용의 집에서 1960년대 초중반에 하숙(정한용의 모친이 장사 수완이 뛰어나서 일반인들 대부분이 가난하던 당시에도 부유하게 살았다.)을 했고, 국민학생이던 정한용에게 공부도 가르쳐주었다고 한다. 사실 형을 닮아 음악적 재능도 뛰어났다고 하는데, 길옥윤에게 형님처럼 음악인이 되고 싶다고 하자, "내가 전공을 못 살렸는데, 너까지 못 살리면 어떡하느냐. 너라도 의료인이 되라"고 설득해서 마음을 고쳐먹고, 치과의사가 되었다고 한다. 아마 친동생 중에 그 정도 큰 나이 차이인 동생이 있다면 그 나이 사이에 다른 친동생들이 있었을 확률이 크다. [6] 요시야 노부코(吉屋信子)에게서 요시야를, 타니자키 쥰이치로(谷崎潤一郞)에게서 쥰을 가져왔다. 요시야는 백합물의 시조로 유명하다. [7] 대한민국 최초의 실용음악과 [8] 대략적으로 재즈 카페와 비슷한 형태였다고 한다. [9] 한국과 경제협력을 위해 1994년과 1995년 방한하기도 했다. 2020년 1월, 그의 아들 데이비드 카부아(David Kabua) 역시 대통령이 되었다. [10] 길옥윤의 유작이다. [11] 큰 히트를 친 노래는 아니었지만, 2020년에 미스터트롯에서 김희재가 불러서 히트쳤다. [12] 마셜 제도의 국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