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3 08:23:42

군함/배수량별 목록/1914년~1949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군함/배수량별 목록
시기별 배수량(무기, 크기) 기준 군함 목록
군함/배수량, 크기, 무기별 목록/1500년~1860년 이전 군함/배수량별 목록/1860년~1913년 군함/배수량별 목록/1914년~1949년 군함/배수량별 목록/현대

1. 개요2. 잠수함3. 상륙함4. 항공모함5. 전투 수상함: 경비정, 초계함, 호위구축함, 호위함, 구축함, 순양함, 전함
5.1. 1톤~1,000톤5.2. 1,000톤~2,000톤5.3. 2,000톤~3,000톤5.4. 3,000톤~5,000톤5.5. 5,000톤~1만 톤5.6. 1만 톤~2만 톤5.7. 2만 톤~3만 톤5.8. 3만 톤~4만 톤5.9. 4만 톤~5만 톤5.10. 5만 톤~6만 톤5.11. 6만 톤~7만 톤5.12. 7만톤 이상
6. 관련 문서

1. 개요

이 문서는 1914년부터 1949년까지 취역한 해군 함정을 기입하는 문서로 배수량은 만재 배수량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2. 잠수함

3. 상륙함

4. 항공모함

5. 전투 수상함: 경비정, 초계함, 호위구축함, 호위함, 구축함, 순양함, 전함

5.1. 1톤~1,000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M30.jpg
1915년 10월, 영국 해군의 HMS M30( M29급 모니터함)
파일:백두산함.jpg
1950년, 대한민국 해군의 실질적인 첫 군함인 PC-701 백두산[1]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deep load 기준 배수량 취역 최속[2]
미국/ 대한민국 백두산급 구잠함[3] 450톤 기준 280톤 1949년 7월 24일[4] 20.2
영국 M29급 모니터함[5] 535톤 1915년 6월 10
영국 M15급 모니터함[6] 540톤 1915년 6월 11

5.2. 1,000톤~2,000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CS_Alberni_K-103_O-6140.jpg
HMCS Alberni (K-103) 캐나다 해군 플라워급 초계함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최속
영국/기타 국가 플라워급 초계함 1,170 톤[7] 940톤 1940년 6월 22일 16
미국/ 영국 윅스급 구축함 1,247톤 1,154톤 1918년~ 1946년 35.3
영국/ 미국 인턴시티급 초계함 1,375 톤[8] 1,077톤 1943년 3월 31일 16.5
영국/ 브라질 험버급 모니터함[9] 1,520톤 1,260톤 1914년 12
소비에트 러시아 야코브 스베르드로프 구축함[10] 1,590톤 1,260톤 1918년 9월 9일 37.3
영국 캐슬급 초계함 1,656 톤[11] 1,077톤 1943년 9월 18일 16.5
프랑스 브라스크급 구축함 [12] 1,968톤 1,298톤 1940년 9월 15일 33

5.3. 2,000톤~3,000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Loch_Killisport_1945_IWM_FL_14780.jpg
영국의 HMS Loch Killisport( 라크급 호위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McKee_DD-575.jpg
1943년 7월 3일, 미국의 USS Mckee DD-575( 플레처급 구축함)
파일:chung_mu_00ma.jpg
미국의 USS Erben DD-631 / 대한민국 충무함 DD-91 / DD-911( 플레처급 구축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Yukikaze_2.jpg
일본의 유키카제(雪風) / 중화민국 해군의 단양(丹陽)급 구축함( 가게로급 구축함)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최속
일본/ 소련[13] 후부키급 구축함 2,080톤 1,780톤 1926년 9월 23일 38
소련 오피트니급 구축함[14] 2,170톤 1,570톤 1941년 6월 35
영국 라크급 호위함[15] 2,260톤 1,435톤 1944년 4월 10일 20
소련 소브라지텔니급 구축함[16] 2,279톤 1,727 톤 1940년 11월 10일 40.3
미국/기타국가 플레처급 구축함[17] 2,500톤 2,050톤 1942년 6월 4일 36.5
중화민국 닝하이급 경순양함[18] 2,526톤 1932년 9월 1일 23.2
일본/ 중화민국[19] 가게로급 구축함 2,540톤 2,032톤 1939년~ 1947년 35
영국 C-급 구축함[20] 2,570톤 1,730톤 1944년~ 1972년 36
소련 오그네보이급 구축함[21] 2,950톤 2,240톤 1944년 37

5.4. 3,000톤~5,000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ssy-page1-494px-Le_Fantasque_%28Croiseur_l%C3%A9ger%29_%282%29.tif.jpg
1943년 6월, 프랑스의 팡타스크급 구축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len_m_sumner-2.jpg
미국의 USS Allen M. Sumner DD-692(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파일:external/www.roknavyveteransass.com/921.jpg
미국의 USS Richard E. Kraus / 대한민국의 광주급 구축함 DD-921( 기어링급 구축함)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일본 시마카제급 구축함[22] 3,048톤 2,567톤 1943년 1월 20일
프랑스 샤칼급 구축함[23] 3,098톤 2,126톤 1939년 3월 6일
소련 스코리급 구축함[24] 3,115톤 2,353톤 1949년
프랑스 보클랭급 구축함[25] 3,120 톤 2,634 톤 1932년 12월 31일
프랑스 에이글급 구축함[26] 3,190톤 2,480톤 1931년 12월 25일
프랑스 게파르급 구축함[27] 3,251톤 2,475톤 1929년 8월 13일
프랑스 팡타스크급 구축함[28] 3,455톤 2,610톤 1935년 2월 10일
미국/기타 국가 기어링급 구축함 3,460톤 2,616톤 1940년~ 1970년대 추정.
영국/ 캐나다 아레투사급 경순양함[29] 3,500톤 1914년 8월
미국/기타 국가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3,515톤 2,200톤 1943년~ 1975년
독일 나르비크급 구축함[30] 3,605톤 2,600톤 1929년 9월 15일
일본 아키즈키급 구축함[31] 3,700톤 2,700톤 1942년 6월 1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노바라급 경순양함[32] 4,010톤 1914년 8월 1일
프랑스 모가도르급 구축함[33] 4,018톤 2,997톤 1939년 4월 8일
일본 텐류급 경순양함[34] 4,350톤 3,230톤 1919년 11월 20일

5.5. 5,000톤~1만 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Raleigh_%28CL-7%29_July_1942.jpg
1942년 7월 2일, USS Raleigh CL-7( 오마하급 경순양함)
국가 함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연도
일본 센다이급 경순양함[35] 5,595톤 5,195톤 1924년 4월29일
일본 나가라급 경순양함[36] 5,659톤 5,170톤 1922년 4월21일
영국 고곤급 모니터함[37] 5,838톤 1918년 5월 1일
일본 쿠마급 경순양함[38] 5,926톤 5,500톤 1920년 8월 31일
영국 클라이브 경급 모니터함[39] 6,150톤 1915년 5월
영국 아베크롬비급 모니터함[40] 6,250톤 1915년 5월 1일
영국 네이 원수급 모니터함[41] 6,900톤 6,670톤 1915년 8월
영국/기타 국가 다이도급 경순양함[42] 7,600톤 5,900톤 1940년 5월 24일
소련 스베틀라나급 경순양함[43] 8,200톤 7,600톤 1926년
미국 애틀랜타급 경순양함[44] 8,450톤 6,700톤 1941년 12월 24일
영국 에레버스급 모니터함[45] 8,450톤 8,000톤 1916년 8월 6일
프랑스 라 갈리소니에흐급 경순양함[46] 9,120톤 7,600톤 1936년 1월 1일
미국 오마하급 경순양함[47] 9,150톤 7,300톤 1923년 2월 24일
영국 로버츠급 모니터함[48] 9,150톤 7,973톤 1941년 10월 27일
소련 키로프급 순양함(1935년)[49] 9,436톤 7,890톤 1938년 9월 26일
프랑스 듀가이 툴루앙급 경순양함[50] 9,500톤 7,365톤 1926년 11월 2일
영국 리앤더급 경순양함[51] 9,740톤 7,270톤 1931년 7월 23일

5.6. 1만 톤~2만 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dmiral_Scheer_in_Gibraltar.jpg
1936년, 나치 독일의 Admiral Scheer( 도이칠란트급 중순양함)
파일:external/wiki.gcdn.co/%D0%9C%D0%BE%D0%B3%D0%B0%D0%BC%D0%B8_%D0%B8%D1%8E%D0%BB%D1%8C_1935.jpg
1935년, 일본의 모가미(最上)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일본 후루타카급 중순양함 10,630톤 8,700톤 1926년 3월 31일
미국 펜사콜라급 중순양함 11,512톤 9,100톤 1928년 2월 6일
영국 타운급 경순양함 11,650톤[52] 9,400톤 1934년 10월 4일
프랑스 뒤켄급 중순양함 12,200톤 10,000톤 1928년 12월 6일
미국/기타 국가 브루클린급 경순양함 12,207톤[53] 9,767톤 1937년 9월 30일
프랑스 쉬프랑급 중순양함 12,780톤 10,000톤 1930년 1월 1일
프랑스 알제리급 중순양함 13,641톤 10,000톤 1934년 9월 15일
영국 카운티급 중순양함 13,670톤 9,010톤~10,196톤 1928년
미국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54] 14,358톤 11,932 톤 1942년 6월 15일
독일 도이칠란트급 장갑함[55] 14,520 톤 10,800 톤 1933년 4월 1일
일본 묘코급 중순양함 14,980톤 11,633톤 1929년 7월 31일
일본 모가미급 중순양함 15,057톤 12,400톤 1935년 7월 28일
일본 토네급 중순양함 15,200톤 11,213톤 1938년 11월 20일
일본 타카오급 중순양함 15,490톤 9,850톤 1932년 3월 30일
미국 오리건시티급 중순양함 17,000톤 13,700톤 1946년
미국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17,273톤 14,733톤 1943년
미국 우스터급 경순양함 17,997톤[56] 13,000톤 1948년 6월 26일
독일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 18,200 톤 14,050 톤 1939년
미국 디모인급 중순양함 18,991톤 15,653톤 1948년

5.7. 2만 톤~3만 톤

파일:VELg1t5.jpg
진주만 공습으로 파괴 당하기 전 네바다급 전함/ USS Oklahoma (BB-37)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에린급 전함 25,250톤 22,780톤 1914년 8월 1일
미국 개장 전 네바다급 전함 27,900 톤 1916년 3월 11일

5.8. 3만 톤~4만 톤

파일:xMBB1nb.jpg
1942년에 촬영된 미국의 USS Nevada BB-36[5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Barham_%281914%29.jpg
1930년대 중반 영국의 HMS Barham(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
파일:attachment/BB_Fuso_1939-00001.jpg
1939년, 일본의 후소(扶桑)
파일:attachment/ise002.jpg
1943년, 항공전함으로 개조된 일본의 휴우가(日向)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리벤지급 전함 33,500톤 29,150톤 1916년 1월
미국 개장 후 네바다급 전함 33,901톤 30,500 톤 1916년 3월 11일
프랑스 됭케르크급 전함 35,000톤 25,000톤 1937년 5월 1일
영국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 36,500톤 27,500톤 1915년 5월 29일
일본 후소급 전함 39,154톤 34,700톤 1915년 11월 8일
일본 이세급 전함 40,169톤[A]/38,682톤[B] 36,000톤[A]/35,350톤[B] 1917년 12월 12일/ 1943년 8월 23일[B]

5.9. 4만 톤~5만 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ritish_Battlecruiser_HMS_Hood_circa_1932.jpg
1932년, 영국의 HMS Hood(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Japanese_Battleship_Nagato_1944.jpg
1944년, 일본의 나가토(長門)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넬슨급 전함 41,250톤 33,950톤 1927년 8월 15일
영국 킹 조지 5세급 전함(1939년) 44,460톤 38,031톤 1940년 12월 11일
미국 사우스다코타급 전함 44,519톤 35,000톤 1942년 3월 20일
일본 나가토급 전함 44,672톤[63] 39,130톤 1920년 11월 25일
이탈리아 리토리오급 전함 45.963톤 35,000톤 1940년 4월 28일
일본 아마기급 순양전함[64][65] 47,000톤 41,217톤 1922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47,400톤 37,200톤 1941년 4월 9일
영국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후드 47,430톤 1920년 5월 15일
프랑스 리슐리외급 전함 48,950톤 37,450톤 1940년 7월 15일

5.10. 5만 톤~6만 톤

파일:external/www.maritimequest.com/19_bismarck.jpg
1940년, 나치 독일의 Bismarck( 비스마르크급 전함)
파일:external/www.ibiblio.org/k12603.jpg
1950년 10월 17일, 한국전쟁 당시 USS Missouri BB-63( 아이오와급 전함)[66]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영국 뱅가드급 전함 52,250톤 45,200톤 1946년 5월 12일
독일 비스마르크급 전함 52,600톤 42,900톤[67] 1940년 8월 24일
미국 아이오와급 전함 57,000톤[68] 45,000톤 1943년 1월 22일

5.11. 6만 톤~7만 톤

파일:x0cLanJ.jpg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개발
독일 H-39[69] 63,600톤[70] 56,444톤 1939년 9월 30일 취소
소련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71] 65,150톤 59,150톤 1941년 7월 10일 취소

5.12. 7만톤 이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Yamato_during_Trial_Service.jpg
1941년, 일본의 야마토(大和).
제조 국가/운용국 이름/급 만재 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일본 야마토급 전함 71,659톤[72] 65,027톤 1941년 12월 16일
미국 몬태나급 전함 72,104톤 63,221톤 취소
독일 H-41 76,003톤[73] 68,800톤 취소
일본 A-150 전함(슈퍼 야마토급) 82,650톤 70,000톤 취소
독일 H-42 98,104톤[74] 90,000톤 취소
독일 H-43 120,010톤[75] 111,000톤 취소
독일 H-44 141,507톤[76] 131,000톤 취소

6. 관련 문서



[1] 한국전쟁 당시 대한해협 해전을 승리로 이끌고 이후에도 여러 전공을 세웠다. [2] 노트(knot) [3] 원 함명은 USS PC-823 화이트헤드. [4] 대한민국 해군에서의 공식적인 취역은 1950년 4월 10일. [5] # [6] # [7] 플라워급 초계함 자료 [8] 인턴시티급 초계함 자료 [9] http://en.wikipedia.org/wiki/Humber_class_monitor [10] http://en.wikipedia.org/wiki/Soviet_destroyer_Yakov_Sverdlov [11] https://en.wikipedia.org/wiki/Castle-class_corvette [12] http://en.wikipedia.org/wiki/Bourrasque_class_destroyer [13] 특 III형(아카츠키급) 2번함 히비키(響)는 소련에 전후배상함으로 넘겨져 베르니(Верный)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1948년에 다시금 데카브리스트(Декабрист)로 바뀌어 연습함으로 사용되다 1953년에 퇴역했다. [14] 오피트니급 구축함 [15] 라크급 호위함 [16] 소브라지텔니급 구축함 [17] 플레처급 구축함 [18] 닝하이급 경순양함 [19] 8번함 유키카제(雪風)는 전후배상함으로 넘겨져 단양(丹陽)급 구축함으로 활용되었다. [20] 영국의 C급 구축함 [21] 오그네보이급 구축함 [22] 시마카제급 구축함 [23] 차칼급 구축함 [24] 스코리급 구축함 [25] 보클랭급 구축함 [26] 에이글급 구축함 [27] 게파급 구축함 [28] 팡카스급 구축함 [29] 아레투사급 경순양함(1913년) [30] 나르비크급 구축함 [31] 아키즈키급 구축함 [32] 노바라급 구축함 [33] 모가도르급 구축함 [34] 텐류급 구축함 [35] https://en.wikipedia.org/wiki/Sendai-class_cruiser [36] https://en.wikipedia.org/wiki/Nagara-class_cruiser [37] http://en.wikipedia.org/wiki/Gorgon_class_monitor [38] https://en.wikipedia.org/wiki/Kuma-class_cruiser [39] http://en.wikipedia.org/wiki/Lord_Clive_class_monitor [40] http://en.wikipedia.org/wiki/Abercrombie_class_monitor [41] http://en.wikipedia.org/wiki/Marshal_Ney_class_monitor [42] 다이도급의 만재배수량 [43] 스베틀라나급 순양함의 만재배수량 [44] 애틀랜타급의 만재배수량 [45] http://en.wikipedia.org/wiki/Erebus_class_monitor [46] http://en.wikipedia.org/wiki/La_Galissonni%C3%A8re-class_cruiser [47] 오마하급의 만재배수량 [48] http://en.wikipedia.org/wiki/Roberts_class_monitor [49] http://en.wikipedia.org/wiki/Kirov_class_cruiser [50] http://en.wikipedia.org/wiki/Duguay-Trouin-class_cruiser [51] 리앤더급의 만재배수량 [52] 타운급의 만재배수량 [53] 브루클린급의 만재배수량 [54] https://en.wikipedia.org/wiki/Cleveland-class_cruiser [55] http://en.wikipedia.org/wiki/Deutschland-class_cruiser [56] 우스터급 경순양함 자료 [57] 진주만 공습에서 대파된 네바다급 전함 1942년 오버홀한 후 재취역하였다. [A] 근대화 [B] 항공전함 [A] [B] [B] [63] 나가토급 만재 배수량 정보 - 독일어 [64] http://en.wikipedia.org/wiki/Amagi-class_battlecruiser [65] 1번함 아마기(天城)는 관동대지진으로 파손되어 스크랩, 2번함 아카기(赤城)는 항공모함으로 개조. [66] 함경북도 청진시를 표격하고 있다. [67] http://en.wikipedia.org/wiki/Bismarck_class [68] 2차 세계 대전 당시 배수량, 개장 이후 58,000톤 [69] http://en.wikipedia.org/wiki/H-class_battleship_proposals [70]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battleships_of_Germany [71] http://en.wikipedia.org/wiki/Sovetsky_Soyuz-class_battleship [72] 야마토급 배수량 정보 [73] Gröner, Erich (1990). German Warships: 1815–1945. Annapolis: Naval Institute Press. ISBN 978-0-87021-790-6. OCLC 22101769/Gröner, pp. 35–37. [74] Gröner, Erich (1990), p. 38 [75] Gröner, Erich (1990), p. 38 [76] Gröner, Erich (1990), p.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