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원 길 | ||
<colbgcolor=#f5f5f5,#1f2023><colcolor=#373a3c,#ddd> 발매일 |
<colbgcolor=#ffffff,#2d2f34>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1972년 5월 5일 |
|
장르 | 동요 | |
작사 | 박화목 | |
작곡 | 김공선 | |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 | <colbgcolor=#ffffff,#2d2f34> |
TJ미디어 | 5301 |
[clearfix]
1. 개요
박화목 작사, 김공선 작곡의 한국의 동요.
2. 곡 정보
본래 과수원 길 자체는 시인이자 아동문학가였던 박화목이 쓴 시였지만, 문화방송의 의뢰로 당시 서울신림초등학교 교장 재직 중이던 교육자이자 작곡가인 김공선이 여기에 곡을 붙여 1972년, 어린이날에 맞춰 펴낸 자신의 첫 창작동요집 '이른 봄의 들'에 수록했고, 한국동요동인회를 통해 발표되었다. 작사가와 작곡가는 북한 지역이 고향이라는 공통점[1]이 있었는데, 고향에 대한 그리움도 작사와 작곡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기사실제로도 이 동요의 배경인 과수원 길은 작사가 박화목의 외가 부근 과수원 길이다. 또한, 가사 중 '둘이서 말이 없네 얼굴 마주 보며 생긋'에서 '둘'은 작사가 박화목 본인과 그의 여동생이라고 한다. 기사
서정적이고 정감있는 가사와 따라 부르기 쉬운 가락 덕에 한국에서는 거의 국민 동요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유명하며, 강원도 지역에서는 본 동요의 이름을 딴 ' 과수원 길 동요음악제'가 2013년부터 행해진다.
사실 아카시아가 아니라 아까시나무이다. 예로부터 잘못 불리고 있는 명칭이라 가사에서도 틀린 것인데, 한편으로는 이 노래가 워낙 유명하기에 역으로 잘못된 명칭을 널리 퍼뜨린 주범(?)이기도 하다. 진짜 아카시아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가사 중 '아카시아 꽃 하얗게 핀' 이라는 부분이 있는 것을 보면 그냥 아까시나무를 가리키는 것이 옳다. 아카시아의 꽃은 노란색이다. 애초에 과수원 주변에는 아카시아를 심지 않는다. 땅의 영양소를 다 빨아들여 작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는 모양. 반면 아까시나무는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고, 한국전쟁 이후에 산림 녹화 사업 등으로 많이 심어졌기에 과수원 주변 길에 있어도 이상하지 않다.[2]
이 곡을 작사한 박화목 시인의 외손자로 정상수가 있다.
1975년, 서수남과 하청일이 이 곡을 불러 대중가요 순위 프로그램에서 4위까지 오르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 아빠와 크레파스나 파란나라 등 가요 순위에 오르고 나서 동요로써 널리 알려진 곡들이 있지만, 동요의 장르로 이미 작곡된 음악이 대중음악의 순위에 오른 특별한 경우이다. 그만큼 1975년도에 큰 사랑을 받았었다.
1991년 3월 27일, 음악 시리즈 7집으로, 동요 '꽃밭에서'와 같이 우표가 발행되었고, 액면가 100원.
2000년대 초,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2017년 스페인 밀레니엄 오케스트라에서 이 노래를 한국어로 부르기도 했다.
술 게임에 이 노래를 활용하기도 한다: 동구밖 과수원샷! 아카시아 꽃이 활짝 피었으니 원샷![3]
3. 가사
가사 |
동구 밖 과수원 길 아카시아 꽃이 활짝 폈네 하얀 꽃 이파리 눈송이처럼 날리네 향긋한 꽃 냄새가 실바람 타고 솔 솔 둘이서 말이 없네 얼굴 마주 보며 생긋 아카시아 꽃 하얗게 핀 먼 옛날의 과수원 길 |
4. 매체
- 독고탁의 다시 찾은 마운드: 1985년 작 애니메이션으로 삽입곡 및 BGM으로 사용되었다. 만화영화 속에서 여주인공 숙이가 즐겨 부르는 노래로, 기억상실에 걸렸던 남주인공 독고탁이 같이 부르기도 하고, 후에 독고탁이 기억상실에서 회복되는 과정 중에 숙이와의 추억을 회상하는 매개체로서도 활용된다.
- 무한도전 - 무한도전 벼농사 특집: 블루 시드의 무도 팀이 길의 5연승을 자축하기 위해 부르기도 했다.[4]
- 어린이 만화 동요 노래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