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2:15:24

멀티버서스

멀티 버서스에서 넘어옴
멀티{{{#ffffff {{{+1 }}}}}}서스
MultiVersus
파일:MultiVersus.jpg
개발 플레이어 퍼스트 게임즈
유통 워너 브라더스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PlayStation 4[1] | Xbox One[2]
PlayStation 5 | Xbox Series X|S
Microsoft Windows
ESD 콘솔: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PC: Steam
장르 난투형 액션
출시 오픈 베타
2022년 7월 19일[3]
정식 출시
2024년 5월 28일[4]
엔진 언리얼 엔진 5
한국어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5][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트레일러4. 발매 전 정보
4.1. 공식 발표 전4.2. 공식 발표 후
5. 참전 캐릭터6. 맵7. 평가
7.1. 오픈 베타7.2. 정식 출시 이후
8. 기타

[clearfix]

1. 개요

플레이어 퍼스트 게임즈에서 개발, 워너 브라더스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에서 2022년 PS4, PS5, XB1, XSX|S, PC로 출시예정인 무료 난투형 액션 게임.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한다.

워너 브라더스의 캐릭터 IP로 만들어지는 사실상 워너 브라더스 버전 대난투라고 볼 수 있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198fe3><colcolor=#fff>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5-2300
AMD FX-8350
Intel Core i5-3470
AMD Ryzen 3 1200
메모리 4 GB RAM 8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550 Ti
AMD Radeon HD 7770
NVIDIA GeForce GTX 660
AMD Radeon R9 270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6 GB
추가 사항 60 FPS at 720p 60 FPS at 1080p

3. 트레일러

멀티버서스 - 퍼스트 룩 트레일러
멀티버서스 - 시네마틱 트레일러

4. 발매 전 정보

4.1. 공식 발표 전

멀티버서스의 루머는 2021년 10월 게임 루머판 레딧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익명의 레딧 포스트는 현재 원너 브라더스가 자사 IP들을 이용해 대난투 비슷한 스타일의 게임을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그냥 근거 없는 루머 짜라시 취급이었지만 그 후 멀티버서스라는 워너가 직접 올린 상표등록이 발견되었고 명망높은 인사이더 제프 그러브(Jeff Grubb)가 트위터로 워너판 대난투 게임은 진짜라고 주장하면서 신방성이 올라가기 시작했다.

21년 10월 말 대난투 DX 푸린 프로 플레이어로 유명한 HungryBox가 익명의 누군가한테 받은 사진이라고 하면서 멀티버서스의 캐릭터 셀렉트 스크린샷을 본인의 트위터에 올렸다.[7] 하지만 이 스크린샷이 워너의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면서 이 멀티버서스라는 게임의 존재는 기정사실이 되었다.

21년 10월 말 유투버 PapaGenos의 디스코드 서버로 멀티버서스의 스테이지 및 게임플레이 스크린샷이 유출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워너는 또 저작권 문제로 스크린샷을 삭제하기 시작했지만 Resetera 등등 수많은 사이트로 유출된 후였다.

21년 11월 17일날 공식 톰과 제리 트위터 계정에서 톰과 제리가 사라졌다는 트윗이, 공식 루니툰 트위터 계정에선 벅스 버니가 사라졌다는 트윗이 올라왔다, 그리고 공식 스쿠비 두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섀기가 사라졌다는 게시글이 올라왔고, 많은 사람들은 이 글들이 멀티버서스의 떡밥이라고 생각했다.[8]

2022년 7월 19일 클로즈드 베타가 시작되었고, 동년 7월 26일 오픈 베타가 시작된다.

2024년 5월 29일 한국어판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4.2. 공식 발표 후

8월에 개최된 EVO 2022에 출전하였다.

2022년 8월 15일 시즌 1이 시작되었다. 원래는 8월 9일로 예정되었지만 일주일 가까이 연기 되었다. 시즌 1 시작과 함께 블랙 아담과 영화 그렘린 스트라이프가 참전했고 그 후 11월 15일 시즌 2 시작과 함께 화성인 마빈이 참전했다.

오픈 베타는 6월 25일에 종료되고 이후 2024년 초에 정식 출시될 예정이라고 예고 되었다가 5월 28일에 발매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지역 제한이 걸린 오픈 베타와는 달리 이번에는 전세계에 동시 출시된다.

5. 참전 캐릭터

캐릭터는 크게 탱크(Tank), 브루저(Bruiser), 암살자(Assasin), 서포터(Support), 마법사(Mage/Ranged)로 나뉜다.

6.

7.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multiversus|
80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5/multiversus/user-reviews|
6.7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multiversus|
80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multiversus/user-reviews|
6.9
]]


[[https://www.metacritic.com/game/pc/multiversus|
78
]]


[[https://www.metacritic.com/game/pc/multiversus/user-reviews|
5.7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multiversus|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multiversus/user-reviews|
5.9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multiversus|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multiversus/user-reviews|
4.7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333,#555><table bgcolor=#fff,#1c1d1f><bgcolor=#333>
기준일:
2024-03-11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
[[https://opencritic.com/game/13452/multiversus| '''평론가 평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https://opencritic.com/game/13452/multiversus| '''평론가 추천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7.1. 오픈 베타

출시 당시에는 평론가들로부터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더구나 앞선 소개대로 워너 브라더스판 IP로 플레이하는 대난투라는 점 만으로도 양덕들에게는 환장할만한 작품이었고, 스팀 기준 초기 동접자는 최대 15만명에 달할 정도로 유저들로부터 엄청난 호응을 이끌어냈다. 더 게임 어워드 2022에서는 대형 후보작이 부족했던 점도 있어 무난하게 올해의 격투게임 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 초기의 엄청난 호응도가 무색하게도 시간이 흐를수록 이용자 수가 급감했고, 2023년 이후로는 동접자가 1000명도 채우지 못할 정도로 추락해버렸다. 하락세의 이유로는 시즌 2 이후의 캐릭터 추가 미비, 고인물과 신규 유저들끼리도 마구 매칭되는 부실한 랭크 제도, 게임 자체의 업데이트는 뒷전이고 유료 스킨 팔이에만 중점을 두는 게임사의 막장 운영이 꼽히고 있다. 게임 자체가 기본 플레이는 무료이고 IP빨로 초반에 가볍게 즐겨보고 떠났을 유저들이 많았음은 감안해야겠지만 그렇다해도 너무나 급격한 하락세가 아닐 수 없다. 대난투식 파티 게임이라 해도 근본은 격투 게임이고 기본적인 완성도가 떨어지면 단순한 IP 팔이만으로는 유저를 잡아둘 수 없다는 것.

동접 15만 찍었는데... 1년도 안 돼 99%가 떠난 게임
한때 GOTY 후보작 ‘멀티버서스’, 이용자 99% 감소했다

결국 이런 문제점으로 멀티버서스에 대한 평가는 갈수록 내려가고 그 여파로 EVO 2023 메인 종목에서 빠져버리고, 단 한 시즌 만에 퇴출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2] 닌텐도가 대난투를 에보에서 내보내지 않게 된 이후 그 대체제가 될 수 있을거라고 여겨졌던 멀티 버서스였기에 이런 단기간의 퇴출은 더욱 충격적이다. 요약하면 북미판 대난투인줄 알았으나 사실은 북미판 던격이었던 게임.

유저 99% 빠져나간 ‘멀티버서스’, 1년 간 서비스 중단 결정
‘멀티 버서스’ 2024년 재개장 선언 … 환불 없음 선언에 팬들 반발
"나 돈 썼는데?" 오픈 베타 종료한 게임, '환불' 논란으로 갑론을박

여기에 더해 지금까지의 서비스는 오픈 베타였고 진짜 서비스를 위해 서버를 1년간 내린다는 충격적인 발표로 팬덤은 완전히 폭발했다.

사실 멀티버서스는 첫 서비스 시작 당시 오픈 베타라는 것을 언급하기는 했다. 문제는 그 와중에 유료 과금 상품은 그대로 팔아먹고 있었다는 것인데, 각종 유료 스킨을 비롯해서 DLC 캐릭터가 포함된 패키지들이 버젓이 팔리고 있었기 때문에 말이 오픈 베타였을 뿐 정식 서비스나 다름 없는 상황이었다. 심지어 풀 옵션 프리미엄 패키지의 가격은 무려 $99.99로 어지간한 AAA급 게임 한정판 수준의 가격이었다. 오프라인 게임은 계속 가능하다지만 현세대의 격겜 구조에서 온라인 매칭이 안된다는 것은 빈껍데기나 다름없다. 팬들은 유료 과금 상품도 잘만 팔아놓고 이제 와서 오픈 베타라고 서버를 내리는 게 말이 되냐며 게임사를 성토하고 있으며 거기에 유료 결제의 환불까지 거부되면서 멀티버서스의 평가는 나락으로 치닫고 있다. 뒤늦게라도 추가 컨텐츠 발표라도 한 던격의 운영이 선녀로 보일지경. 이후 다행히 진행 사항 외 오픈 베타 때 구매한 컨텐츠들은 모두 정식 출시 때 이관된다고 한다.

이와는 별개로 오픈 베타 당시 아시아권에서는 지역락이 걸려서 서비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는 그냥 비판 일색이며 상술한 막장 운영이 알려지면서 더더욱 비웃음의 대상이 되고 있다.

7.2. 정식 출시 이후

  • 호평
    • 엄청난 규모의 크로스오버
      할리우드 5대 메이저 스튜디오인 워너브라더스판 대난투인만큼 본작의 크로스오버는 역대 최대규모라고 할 수 있다. DC코믹스 카툰네트워크의 IP만 해도 엄청난 입지와 팬층을 거느리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 본작의 성장가능성은 가히 무궁무진한 상태.
    • 완성도 높은 캐릭터 구현도과 애니메이션
  • 혹평
    • 허술한 UI와 편의성
    • 지루한 PVE 콘텐츠 및 플레이 강요
      스토리모드이자 PVE 콘텐츠인 '균열'은 만장일치로 재미가 없다는 의견이다. 애당초 스토리자체가 깊이감 없고 개발새발이며[23] 플레이자체도 특수능력을 부여해주는 젬 수정이라는 시스템이 있다고한들 봇전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재미없어지는게 당연하며 사실상 실전연습모드인 격이다. 크리스탈 방어나 과녁맞추기 또한 난이도만 높아지며 재탕되고 패배없이 최고기록에 깨는 스테이지이기 때문에 금방 질리기 시작한다. 물론 안하면 그만이라지만 문제는 균열 플레이를 요구하는 미션들과 스미스 요원 이벤트를 진행하기 위해선 균열을 필두로 플레이 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는 하술될 문제점과도 연계된다.
    • 빈약한 보상과 까다로운 미션
      게임을 아무리 많이 플레이한다고 한들 그 만큼 들어오는 경험치나 화폐등 보상이 너무 적어 성취감이 없다는 의견이 잦으며[24] 그 만큼 새로운 파이터를 해금시키려면 매일매일 균열과 미션을 꾸준히 깨줘야만 하는데, 정작 상술된 바와 같이 균열자체가 재미없는 것은 둘째치고 미션을 깨려고하면 번역 문제인지 표기된 미션이 무엇을 하라는건지 직접 해보고 봐야 알 수 있는 미션이 간간히 있으며 로테이션으로마저 소유하고 있지도 않은 카테고리의 파이터를 플레이 시키는 등 보상자체가 많은것도 아니면서 그 마저도 불가능하거나 까다로운 미션을 쥐어준다.
    • 무성의한 한글화
      국내 한정적인 문제점으로 시작부터 눈에 튀는 기본 폰트는 물론 탱커(Tank)를 그대로 탱크라고 번역하거나 마법사/원거리(Mage/Ranged)를 마법사로 퉁치는 등 번역기를 돌린 후 조금 고친 느낌이 강하고 단어를 발음 그대로 표기할 때도 있고 직역 할 때도 있고 일관성이 없으며 '루니 툰'이 '루니 툰매'으로 표기되어있는 알 수 없는 번역상태 등 전체적으로 무성의하다. 워너브라더스 IP에 대한 국내입지를 생각하면 개선의 여지를 기대하긴 힘들 듯 하다.
    • 잦은 버그와 서버 렉
      간혹 캐릭터가 맵에 끼거나 투사체를 대놓고 뚫고있음에도 타격판정이 되지 않는 등 버그가 잦으며, 승부가 결정나면 캐릭터가 순간이동하는 현상이 확정적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 스팀에선 글리미움을 살 수 없는 문제가 일주일이 지났음에도 방치되어있다.
  • 호불호
    • 템포

종합적으로 게임자체는 대난투 장르에 익숙치 않은 유저들에게 적당한 캐주얼함과 훌륭한 캐릭터 구현도로 좋아하는 캐릭터를 즐기기 위해 가볍게 플레이하는 유저를 사로잡기 좋지만 밸런스나 부실한 보상 등 운영 측면에서 점수를 많이 깎아먹게 된 케이스로 사후 지원과 패치에 게임의 존폐가 달려있는 상태이다.

8. 기타

  • 공개된 게임 플레이 모습을 보면 섀기 로저스는 직접 기를 내뿜던가 무투파 스타일로 상대를 상대하는 모습을 보이는데[25], 아무래도 해외에서 인기있던 밈인 지상 최강 캐릭터 섀기 로저스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팬들이 재미로 얘기하던 지상 최강 캐릭터 섀기 로저스가 정말 현실이 되었다고 반응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그 동시에 어떤 사람들은 너무 인터넷 유행에 의존했다면서 차라리 원작의 겁쟁이 캐릭터 기믹을 살린 섀기 로저스로 나오는 게 더 나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궁극의 캐릭터 게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니 어떤 사람들은 엄연히 워너 캐릭터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로 워너와 가까이 엮인 캐릭터들의 참전을 원하는 목소리도 있다.[26] 하지만 워낙 이런 캐릭터들은 워너 소속 관련 캐릭터들이 아니고 캐릭터의 판권이 전부 다른 회사에 속해 있기 때문에 정말 참전할 가능성은 애매하다.
  • 워너 브라더스의 자회사인 카툰네트워크는 이미 Cartoon Network: Punch Time Explosion이라는 카툰네트워크 캐릭터들이 참전하는 난투형 게임을 2011년에 만든 전적이 있다. 기종은 닌텐도 3DS. 그 후에 Cartoon Network: Punch Time Explosion XL이라는 확장팩으로 Wii, 엑스박스 360, 그리고 PS3로 발매되었다. 평가 자체는 그럭저럭 무난한 캐릭터 게임 정도.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의 후속지원이 끝난 상태[27]에서 공개되었다는 점, 자사의 인기 캐릭터들이 참전한다는 점, 그리고 스매시브라더스 비슷한 난투형 게임이라는 점에서는 브롤할라 니켈로디언 올스타 브롤이 많이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니켈로디언 올스타 브롤과 큰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니켈로디언 올스타 브롤에선 니켈로디언 관련 캐릭터들, 즉 미국 만화 캐릭터들만 참전했지만 멀티버서스에서는 미국의 만화, 영화, 코믹스, 드라마 등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참전한다는 점. 게다가 니켈로디언 올스타 브롤이 게임플레이 자체는 몰라도 명색이 올스타 게임임에도 애매한 캐릭터 로스터, 어색한 모션, 성우 불참등등으로 사실상 똥겜 취급받고 있기 때문에 멀티버서스의 기대가 올라가고 있는 중이다.[28] 대신 브롤할라와는 동일하게 F2P로 출시된다.
  • 게임의 UI나 디자인 스타일이 포트나이트와 상당히 유사하다. 격투게임계의 포트나이트가 될 수 있다는 기사도 올라올 정도면 어느정도 노린 디자인으로 보인다.
  • PS Plus 가입자 한정으로 독점 패키지를 무료로 배포했다.


[1] PS4 Pro Enhanced [2] Xbox One X Enhanced [3] 2023년 6월 25일 서비스 종료 [4] 북미기준이므로 한국은 29일이다. [5] 콘솔 플랫폼은 게임 등급이 필수로 붙기 때문에 콘솔 플랫폼 기준이다. [6] 12세이용가 게임등급을 받았음에도 드물게 폭력성이 아닌 언어의 부적절성이 포함됐는데 아마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에 불건전한 언어 사용이 포함된듯 하다. [7] 그 스크린샷은 바로 이 사진. 현재 간달프만 제외하고 이 스크린샷에 있는 모든 캐릭터들의 참전이 공식 확정되었다. [8] 특히 워너 브라더스 게임 계정은 톰과 제리 트위터 계정에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9] 수어사이드 스쿼드: 킬 더 저스티스 리그가 그의 마지막 유작이지만 정식출시순으로 비교해보면 본작이 마지막 유작이 된다. [10] 저스티스 리그,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 인저스티스 시리즈 등등 수많은 DC 공식 작품에서 슈퍼맨을 연기했다. [11] 미국의 성우 겸 가수. 원더우먼의 연기는 이번이 처음. [12] 2022년 배트맨의 성우 케빈이 사망한 후 조커 역에서 사실상 은퇴했으나, 이번 작 배트맨은 케빈 콘로이가 녹음했기 때문인지 다시 조커를 맡았다. [13] HBO Max 전용 루니툰 애니메이션 등등 현재 공식 루니 툰 작품에서 벅스 버니를 연기하고 있는 전용 성우. 본작의 톰과 제리도 연기한다. [14] 저스틴 로일랜드의 여러 범죄혐의로 하차하여 교체되었다. [15] 2000년대 나온 실사판 2부작 영화 시리즈 에서 섀기역을 맡았고 그 동시에 수많은 애니메이션에서 섀기 역을 맡은 배우 [16] 원본 성우 잭 캘리슨은 참여하지 않는다. [17] 르브론 본인이 직접 참여하지 않는다. [18] 아웃 한정으로 나오는 비명소리는 윌리엄 해나의 것으로 사용되었다. [19] 벅스 버니와 중복되는 성우로 톰과 제리 연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각각 개별의 캐릭터로 참전하는 것이 아니라 2인 1조 캐릭터로 참전.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의 얼음 타기 로젤리나&치코랑 비슷한 케이스지만, 협동이 아니라 톰이 제리를 잡으려다 의도치 않게 상대를 공격하는 컨셉이다. 여기서 플레이어의 메인 기준은 톰이고 제리는 스킬 공격으로 서브 하는 컨셉이다. [20] 오브젝트로 환기구에서 연기가 나와 숨을 수 있는 부쉬를 만들어준다. [21] 오브젝트로 모조조조가 비행선을 타고 등장해 캐릭터를 변이시키거나 폭탄을 던지는 등 여러 습격을 가한다. [22]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는 격겜이 EVO 메인 종목에서 한 시즌 만에 퇴출된 사례는 그 말도 많고 탈도 많은 KOF XIV 정도 밖에 없을 정도로 드물다. 그나마 KOF XIV는 에보 재팬에서라도 명맥을 유지했지만, 멀티 버서스는 아시아권에서 아예 서비스를 하지 않으므로 에보 재팬에 나올 가능성은 더더욱 없다. [23] 국내 한정으론 번역상태까지 더불어져 간간히 읽어줘도 무슨 내용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24] 이는 보상 표기를 시원찮게 보여주지 못하는 부실한 UI도 한몫한다. [25] 더 쉽게 얘기하자면 모 시리즈 그것이 생각난다는 반응 [26] 얘를 들어 워너 브라더스가 고지라(2014)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를 배급했으니 고지라를 참전시키길 원하는 목소리도 있으며, 워너브라더스 재팬이 죠죠의 기묘한 모험 The Animation을 스폰서 했으니까 죠죠 관련 캐릭터를 원하는 목소리도 있다. [27] 본작이 공식 발표일의 바로 다음 날인 2021년 10월 19일, 얼티밋의 마지막 DLC 캐릭터인 소라의 참전과 동시에 최종 캐릭터 별 밸런스 패치가 진행되면서 모든 후속지원이 끝나게 되었다. [28] 특히 성우 면에서 많이 비교된다. 니켈로디언 올스타 브롤에선 성우가 단 한명도 참여하지 않아서 캐릭터들이 아무런 말도, 소리도 내지 않고 싸워서 너무 어색하다는 말이 많은 반면, 멀티버서스는 수많은 전용 및 기존의 성우들이 복귀했기 때문에 호평이 많다. 그나마 니켈로디언 브롤 올스타도 발매 8개월 후 음성이 추가되긴 했으나 평가가 좀 시원찮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