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2:40:11

오키나와 고무도

류큐고무술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iai.png 일본의 무술과 무도
日本の武術・武道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스모
고류 무술(고무도)
14세기 구기신류(九鬼神流, 구귀신류) · 넨류(念流, 염류) · 주조류(中条流, 중조류)
15세기 가게류(陰流, 음류) · 덴신쇼덴 가토리신토류(天真正伝香取神道流, 천진정전 향취신도류)
16세기 가게류(影流, 영류) · 가시마신덴 지키신카게류(鹿島神傳直心影流, 녹도신전 직심영류) · 가시마신토류(鹿島新當流, 녹도신당류) · 고마가와카이신류(駒川改心流, 구천개심류) · 규신류(扱心流, 급심류) · 다케노우치류(竹内流, 죽내류) · 다미야류(田宮流, 전궁류) · 다쓰미류(立身流, 입신류) · 다이샤류(タイ捨流, 다이[タイ]사류) · 덴도류(天道流, 천도류) · 덴진쇼지겐류(天眞正自源流, 천진정자원류) · 도다하 부코류(戸田派 武甲流, 호전파 무갑류) · 마니와넨류(馬庭念流, 마정념류) · 무소신덴류(夢想神伝流, 몽상신전류) · 무소지키덴에이신류(無双直伝英信流, 무쌍직전영신류) · 사부리류(佐分利流, 좌분리류) · 신무소하야시자키류(神夢想林崎流, 신몽상림기류) · 신카게류(新陰流, 신음류) · 아사야마이치덴류(浅山一伝流, 천산일전류) · 야규신카게류(柳生新陰流, 유생신음류) · 요시오카류(吉岡流, 길강류) · 잇토류(一刀流, 일도류)¹ · 지겐류(示現流, 시현류) · 초쿠겐류(直元流, 직원류) · 호조인류(宝蔵院流, 보장원류)
17세기 기토류(起倒流, 기도류) · 고보리류(小堀流, 소굴류) · 니텐이치류(二天一流, 이천일류) · 다미야류(民弥流, 민미류) · 무가이류(無外流, 무외류) · 아베류(安倍流, 안부류) · 오와리칸류(尾張貫流, 미장관류) · 잇가쿠류(一角流, 일각류) · 잇신류(一心流, 일심류) · 세키구치류(関口流, 관구류) · 스이오류(水鷗流, 수구류) · 신교토류(心形刀流, 심형도류) · 신토무넨류(神道無念流, 신도무념류) · 신토무소류(神道夢想流, 신도몽상류) · 소스시류(双水執流, 쌍수집류) · 야규신간류(柳生心眼流, 유생심안류) · 요신류(楊心流, 양심류) · 헤이조무테키류(平常無敵流, 평상무적류) · 호텐류(法典流, 법전류) · 호키류(伯耆流, 백기류) · 혼타이요신류(本體楊心流, 본체양심류)
18세기 교신메이치류(鏡新明智流, 경심명지류) · 모리시게류(森重流, 임중류) · 텐넨리신류(天然理心流, 천연리심류)
19세기
유신 이전
덴진신요류(天神真楊流, 천신진양류) · 신도요신류(新道楊心流, 신도양심류) · 잇토쇼덴무토류(一刀正伝無刀流, 일도정전무도류) · 지키신카게류나기나타주츠(直心影流薙刀術, 직심영류치도술) · 호쿠신잇토류(北辰一刀流, 북진일도류) · 후센류(不遷流, 불천류)
유신 이후* 게이시류(警視流, 경시류) · 다이토류아이키주주츠(大東流合気柔術, 대동류합기유술) · 도야마류(戶山流, 호산류)
무예십팔반(武芸十八般)의 분류:
1. 궁술 · 2. 마술(馬術) · 3. 창술 · 4. 검술 · 5. 수영술 · 6. 거합술( 발도술) · 7. 단도술 · 8. 짓테술 · 9. 수리검술 · 10. 함침술(含針術) · 11. 나기나타술 · 12. 포술 · 13. 포승술 · 14. 유술( 야와라, 권법) · 15. 장술/ 봉술 · 16. 쿠사리가마술 · 17. 뇌술(錑術) · 18. 은형술(인술)
¹ 오노파, 미조구치파, 나카니시파 등의 분파를 포함하며 후에 북진일도류, 일도정전무도류 등의 계파가 탄생했다.
오키나와 테, 오키나와 고무도
현대 무도
일본무도협의회 가맹 무도:
검도 · 공수도² · 궁도 · 나기나타 · 소림사 권법 · 스모 · 유도 · 총검도 · 합기도
전일본검도연맹 주관 삼도(三道):
검도 · 거합도 · 장도
그 외 무술 및 격투기:
골법 · 발도도 · 일본권법 · 킥복싱 · 쿠도 · 타이도
² 가라테 유파로는 쇼토칸류(松涛館流, 송도관류), 고주류(剛柔流, 강유류), 시토류(糸東流, 사동류), 와도류(和道流, 화도류) 등의 전통 유파들, 2차대전 이후로 극진회관을 필두로 한 풀컨택트 계열, 쿠도 타이도 등의 파생 무술들이 있다.
* 일본 고류 무술과 현대 무도를 나누는 기준점은 메이지 유신(1868)으로 여겨지나, 창시가 그 기간에 걸쳐있거나 그 이후지만 고류의 형식으로 수련되고 있는 경우 여기에 넣었다.
일본 고류 무술의 유파들의 경우 창시 세기별로 분류해 외래어 표기법/일본어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다.
}}}}}}}}}
파일:karates_weapons.jpg
오키나와 고무도에서 사용되는 무기들
<colbgcolor=#ffd700> 스포츠 정보
종류 무기술
종주국
[[일본|]][[틀:국기|]][[틀:국기|]][1]
원류 중국 남권 혹은 동남아, 인도의 무술들
올림픽 채택 여부 채택되지 않음(2023년 기준)


[clearfix]

1. 개요

오키나와 고무도, 류큐고무도는 류큐 왕국의 고무술을 뜻한다. 범위에 따라서 오키나와 테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오키나와의 무기술을 일컫는다.

류큐고무도는 크게 타이라 계열과 마타요시 계열로 나뉜다. 그 외에도 금강류 계열, 야마네류, 모토부 계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류큐고무도는 타이라 신켄이 창시한 계열이다. 이는 밑으로 아카미네 계열과 이노우에 계열로 나뉜다

2. 설명

3. 단체

- 타이라 신켄 계열
- 마타요시 신포 계열
- 모토부 쵸오 계열

4. 무기 종류

4.1. 봉(도구)


봉은 기본적으로 육척되는 육척봉을 쓰며, 삼척봉, 구척봉, 하술한 에이쿠도 있다.
카타가 타이라 신켄 계열에만 무려 최소 22개 이상으로 방대한 연구자료들이 남아있다.
가장 기본적으로 배우는 무기이자 가장 중요한 무기이다

4.2. 쌍차

쌍차, 일본어 발음은 사이. 오키나와 고무도에서 기본으로 가르치는 세 무기 중 하나이다. 하지만 만(卍)자로 되어있는 만지 사이는 고단에서 가르치는 고단 무기이다. 만지사이는 카타가 하나 있는데 "지겐 노 사이". 하지만 일반 사이로 해도 딱히 상관은 없다.

4.3. 쌍절곤

눈차쿠, 쌍절곤이라고도 부른다.
휘두르거나 실(또는 사슬)로 상대의 공격을 막는 방식의 공격을 한다.
스킬토이로써의 쌍절곤과는 차이가 많이나는 편. 실제로 휘두르거나 화려한 스킬토이의 쌍절곤과는 달리 양손으로 잡은 눈차쿠 그립을 많이 쓴다.

4.4. 철갑

너클과 다를 것이 없는 철갑이다. 일본어로는 텟코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맨손 무술과 동일하지만 가로가 아닌 세로로 주먹을 쥐어 종권을 이용한다. 카타는 "마에자토 노 텟코" 하나가 있다.

4.5. 톤파

대중매체에서 많이 알려진 톤파는 고급 무기이다. 실제로 흑띠부터 가르치는 경우도 많으며 매우 다루기 까다롭다.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처럼 휘두르는 것보다는 먼저 막고 들어가는 비중이 많은 방어적인 무기이다.

4.6. 에이쿠

배를 저을 때 쓰는 노이다. 원래는 봉의 종류로 취급했지만 최근에는 하나의 무기로 취급하는 유파가 많아졌다.

4.7.

4.8. 틴베로친


틴베, 방패를 의미하며 주로 거북이 등딱지를 이용한다. 로친은 단창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틴베로친이라고 불리기 보다는 틴베라고 줄여서 불려진다. 카타는 "카니가와 노 틴베"가 있다.

4.9. 수루진

수루친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150cm 사슬의 탄수루친, 240cm 사슬의 나가수루친이 있다.
사슬로 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연습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밧줄을 사용하기도 한다


[1] 일본 제국이 된 후 보존 차원에서 만들어졌다.